산업재해 사고를 당해 숨진 청년이 4년간 327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매년 80명으로, 산재사고 사망자 가운데 10명 중 1명꼴이다.
1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산재사고 사망자 중 청년(15~34세)은 평균 80명이다. 연평균 약 900명의 사망자 중에서 가운데 8.9%다.
청년 사망자는 2017년 74명에서 2018년 96명에서 늘어난 후 2019년 84명, 2020년 73명이다. 327명의 청년이 작업장에서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것이다.
사업장의 청년 사망 사고는 해당 작업이 그만큼 위험하거나 안전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산재 사고는 청년에 비해 힘이 부족하거나 사고 시 대응이 어려운 고령층에서 늘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산재 사고 사망자 가운데 60세 이상이 347명(39.3%)로 가장 많았다.
지난달 22일 경기도 평택항에 있는 개방형 컨테이너에서 적재 작업을 하다가 구조물에 깔려 목숨을 잃은 이선호군도 제대로 된 안전교육을 받지 못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최근 논평을 통해 "(이씨가) 새로 맡은 작업은 숙련자도 위험한데, (이씨는) 교육과 훈련을 받지 않았다"며 "당시 신호수는 보이지 않았고 사고 직후 (현장에서는) 119 신고 보다 사측에 보고를 시도했다"고 당시 작업장의 안전대책과 대응이 부실했다고 비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안경덕 고용부 장관에게 산재사고를 줄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고용부는 이 군의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유사 사업장에 대한 점검에 나선다. 안 장관은 전일 서울지방노동청에서 열린 고용노동 위기대응 TF대책회의에서 "사고 원인을 규명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이 드러나면 엄중하게 처리하겠다"며 "이달 평택항과 유사한 사업장(인천항, 부산항, 울산항, 여광양항)에 대한 긴급점검을 실시하고 관계부처와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ggm11@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