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美 4월 물가 4.2% 급등에도...기재차관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 없어”

기재부, 거시경제 금융 점검회의

경기회복 과정 일시 요인과 기저효과가 주 요인

모니터링 강화, 필요시 사장안정조치 적기 시행

이억원(가운데) 기획재정부 1차관이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5차 비상경제 중대본회의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억원(가운데) 기획재정부 1차관이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5차 비상경제 중대본회의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3년 만의 최고치인 4.2% 상승하며 인플레이션 공포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는 메시지를 시장에 보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 금융 점검회의를 열어 “미국 4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가지는 특성, 우리 경제의 강한 회복세, 견고한 대외신인도 등을 감안시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반도체 공급난 등 공급부족,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이연수요 등 경기회복 과정에서 나타날수 있는 일시적 요인과 기저효과가 미국의 물가 상승 주 요인”이라며 “클라리다 미 연준 부의장 등 주요 인사들도 대부분 일시적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다만 이 차관은 “코로나 19의 전개양상, 국가간 불균등한 회복속도, 지정학적 요인 등 국제금융시장의 리스크 요인이 상존하는 가운데, 향후 주요 경제지표 등이 발표되는 과정에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시장 동향과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필요시에는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미국의 4월 물가상승률은 시장 예상치인 3.6%를 상회하는 전년동월대비 4.2%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 및 미 연준의 조기긴축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면서 미국 주가가 하락하고 국채금리가 상승하는 등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일부 확대됐다.

/세종=황정원 기자 garden@sedaily.com


세종=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