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시그널] 투자열풍에 인력난 앓는 외국계 증권사들

국내 사모펀드나 대기업으로 이직 러시

업계 1위 모건스탠리 안재훈 전무 최근 사표






투자은행(IB)업계에서 최고만 모인다는 글로벌IB와 사모펀드(PEF)의 한국 법인들이 인재난을 겪고 있다. 글로벌 금융회사라는 간판을 박차고 독립하거나 국내 기업과 사모펀드로 이직하기 때문이다. 풍부해진 유동성과 투자 열풍이 분 국내 시장에 직접 뛰어들겠다는 움직임이다.

1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모건스탠리 서울사무소에서 한국 IB사업을 이끌던 안재훈 전무가 사의를 표했다. 그는 SK바이오사이언스로 이직할지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모건스탠리는 최근 몇 년간 국내 M&A 자문 시장을 주름 잡아왔다. 현재도 최대어인 한온시스템·이베이코리아 매각 등을 주관하고 있다. 잡코리아·하이퍼커넥트 등 시장을 놀라게 한 매각도 모건스탠리가 맡았다. 업계 1위 소속 임원의 이직 배경에 눈길이 쏠리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예전에는 글로벌IB에서 국내 대기업으로 이직하면 연봉이 줄고 관료적인 조직 문화 때문에 꺼렸지만 최근에는 대우도 좋아지고 활발한 투자가 가능해 지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골드만삭스 서울지점에서 특수상황투자그룹(SSG)투자를 담당한 한형환 전무는 토종 사모펀드 VIG파트너스로 옮겨 크레딧펀드를 운용한다. 골드만삭스에서 했던 고금리 담보대출 성격의 투자를 이어갈 예정이다. 골드만삭스에서 대기업 인수합병을 자문해온 어호선 전 상무도 독립해 PEF를 차렸다.

외국계 IB나 PEF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인력은 한정되어 있지만 기존 인력이 독립하면서 인력난은 더욱 심해지는 양상이다.

외국계 IB UBS는 임병일 전 대표가 삼성증권으로 옮겼고, 중국계 사모펀드인 PAG는 사모펀드 투자 부문 대표였던 최준민 전 대표가 국내 신생PEF인 베저스 인베스트먼트에 합류했다. UBS와 PAG 모두 기존 경력자 중에서 후임자를 찾고 있으나 여의치 않다는 후문이다.

이들이 검토한 후보 중 한사람인 이규철 전 어피니티 한국대표는 CVC캐피탈 한국대표로 말을 갈아탔다. 정명훈 전 CVC캐피탈 한국대표는 아예 투자기업인 여기어때 대표로 이직하며 사모펀드 출신 전문경영인의 길로 들어섰다. 큰 손 투자자인 KKR 역시 이창환 전 상무가 사모펀드 얼라인파트너스를 세우며 나간 뒤 후임자를 찾고 있다. 브룩필드 등 최근 국내에서 인재 영입을 가속화하는 외국계 사모펀드가 늘어난 것도 경쟁을 치열하게 만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투자 환경이 좋아지면서 단순히 옆에서 투자 활동을 돕는 자문사 보다는 직접 투자하는 사모펀드 운용사나 대기업에 가려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다”면서도 “2000년대 초반 벤처투자 열풍이 불 때도 비슷한 움직임이 있었지만 확실한 투자처가 있지 않다면 성공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재훈 전 모건스탠리 서울지점 전무안재훈 전 모건스탠리 서울지점 전무


/임세원 기자 why@sedaily.com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