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박형준, 라이브 정책 커머스로 방송 복귀…"말이 통하는 소통 행보 이어갈 것"

부산시 인터넷 방송인 ‘바다TV’서 시민과 함께 정책 설계

정책 공급자 입장이 아닌 수요자 입장에서 정책 홍보





박형준(사진) 부산시장이 라이브 정책 커머스로 방송에 복귀한다. 앞서 박 시장은 종편방송의 고정패널로 활동하면서 어려운 정치와 사회 현상을 쉽게 설명해 시청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부산시는 “박 시장이 각종 대담 프로그램에서 보여 준 대중 친화적 이미지를 부산시 인터넷 방송인 바다TV를 통한 라이브 정책 커머스 형식으로 정책 구상과 홍보에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단순히 보고 받고 지시하는 기존 관료적 시정 관행에서 벗어나 박 시장의 공약 사항이었기도 한 ‘내게 힘이 되는 시정’을 위해 정책 설계 단계부터 시민의 참여함으로써 시민이 직접 정책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지금까지 시정 홍보가 공급자 위주였다면 ‘라이브 정책 커머스’는 수요자 입장에서 정책을 함께 설계하고 정책의 수용성을 높이는 적극적 정책 행보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위기를 겪는 소상공인·기업, 출산·보육이 가장 큰 고민인 워킹맘·신혼부부, 일자리가 없어 부산을 떠나야만 하는 청년·대학생 등 정책의 수요자가 있는 현장을 찾아 그들과 함께 정책을 만들고 맞춤형 정책을 시장이 직접 알기 쉽게 설명함으로써 정책의 수용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는 단순히 정책을 일방적으로 알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유튜브 방송에서 정책 수요자가 본인의 상황에 맞는 정책을 직접 제안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정책판매 개념이다.

관련기사



라이브 정책 커머스는 △가족, 청년 등 정책의 시민 소통을 위한 ‘생.각.공.감.’ △부산 먼저 미래로, 청년·대학생 ‘오픈 캠퍼스 미팅’ △15분 생활권, 권역별 인프라 조성 ‘우리동네 한바퀴’ △코로나19 깔딱고개를 넘기 위한 ‘비상경제대책회의’ 등 4개 주제로 진행된다. ‘생.각.공.감’은 박 시장 취임 후 새롭게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시민 생활의 질(생)을 높이는 아이디어(각)를 공유(공)·체감(감)하는 정책을 만든다는 의미이다. 부산시는 ‘생.각.공.감’ 제1호 주제로 출산·보육을 정하고 18일에 관련 단체, 전문가, 시민 등이 참여한 가운데 부산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 대한 해답을 현장에서 찾는다.

‘오픈 캠퍼스 미팅’은 청년·대학생과 함께 부산의 미래를 준비하고 설계하기 위해 기획됐다. 박 시장은 월 1~2회 대학 캠퍼스를 직접 찾아 ‘청년이 머무르고 싶은 도시’, 청년들이 선호하는 ‘도심형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구상을 밝히고 지·산·학 협력도시에 대해 청년층과 소통을 강화할 예정이다. ‘우리동네 한바퀴’는 박 시장의 핵심 공약 중 하나인 15분 생활권, 뚜벅이 라이프 완성을 위한 권역별 인프라 조성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듣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는 권역별 오피니언 리더와의 만남도 포함, 지역의 숙원사업, 주요 사회적 이슈에 대한 논의도 함께 할 전망이다.

부산시는 기존 코로나 19 경제위기극복 ‘비상경제대책회의’에도 현장의 목소리를 더 담아낼 계획이다. 지금까지 시청 내에서 관련 전문가와 토론 위주였다면 필요한 경우에는 전통시장, 산업단지, 기업 등 경제위기 현장을 직접 찾아 정책 체감도를 높인다.

박 시장은 “일정이 허락하는 한 시민과의 접촉의 면을 넓혀, 시민들로부터 ‘아~ 부산시가 뭔가 달라졌구나’ 이런 말씀을 들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부산=조원진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