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삼화전기, 삼성전자와 데이터센터 서버용 SSD 최적화된 'S-CAP' 개발 및 본격 양산 공급

삼화전기 원천기술 응용해 세계 최초로 개발된 핵심소재 및 외장재 적용

18일 커패시터 전문 글로벌 기업 삼화전기가 삼성전자와 공동 개발한 ‘S-CAP’을 최근 발표된 삼성전자의 차세대 신제품 SSD에 본격 양산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차세대 대용량 저장장치 SSD는 낸드 플래시 반도체를 활용해 기존 HDD 대비 데이터의 저장 및 쓰기, 읽기 속도가 대폭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글로벌 SSD 시장 규모가 2024년까지 연평균 18%씩 성장해 501억달러(한화 약 5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SD 수요가 급증하는 배경에는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온라인수업, 게임 등 저장장치를 탑재한 디바이스 기기 활용도가 높아진 것도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대형 서버가 필요한 페이스북, 아마존, 구글 등의 IT 업계 데이터 센터 서버 시장에서도 글로벌 SSD 수요가 HDD를 뛰어 넘어 성장하는 만큼, 시장 규모가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화전기가 삼성전자와 함께 개발한 SSD 전용 S-CAP은 삼성전자의 차세대 SSD 신제품 모델에 적용되어 출시 중이며, 기타 모델에도 참여 중인 상황이다. S-CAP은 삼화전기가 확보한 원천기술을 응용하여 세계 최초로 개발된 핵심 소재 및 외장재를 적용하는데, SSD에서 요구하는 고신뢰성의 모든 특성을 만족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은 특허 출원을 마친 상태다.

관련기사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기준, 기업용 SSD 시장에서 독보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무엇보다 최근 발표된 삼성전자의 신제품 SSD는 기존 대비 전력 효율을 개선해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운영 비용을 줄이고 탄소 저감 등 환경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전세계 서버용으로 출하된 하드디스크(HDD)를 모두 SSD로 대체하면 1년간 절감할 수 있는 전력량이 여름철 한달 간 대도시 주택용 소비 전력량보다 클 것이란 분석도 나오는 가운데, 탄소배출량에 대한 규제가 전세계적으로 강화되는 상황에서 SSD 수요는 계속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삼화전기 관계자는 "금번 제품 개발에 적용한 응용기술을 기반으로 SSD 전용 후속 모델인 S-CAP 2 신제품 개발에 착수했다”며 “빠르게 성장하고, 변화하는 시장인 만큼 차세대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개발을 한 템포 빠르게 개발해 기술력을 입증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