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탄소중립 어벤저스...지자체 185곳 뭉쳤다

작년 출범한 '지방정부 연대'

1년도 안돼 100곳 추가 가입

온실가스 감축 컨설팅·교육 등

환경공단, 물밑 지원도 한몫

한국환경공단이 국내의 한 지자체에서 온실가스 관리 역량 강화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환경공단한국환경공단이 국내의 한 지자체에서 온실가스 관리 역량 강화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환경공단




# 경남 창원시는 지난해 ‘수소 비전’을 선포하고 오는 2040년까지 등록 차량의 10%인 5만 2,500대를 수소 기반 모빌리티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내놓았다. 차량은 물론 열차와 선박, 유인 드론까지 수소에 기반해 상용화한다는 것이 창원시의 구상이다. 시는 이를 위해 현재 7곳인 수소충전소를 65곳까지 늘리고 수소 공급량도 하루 135톤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이는 현재 수소 공급(일일 1.5톤)의 90배에 달하는 양이다.



# 대구광역시는 지난 2018년부터 시작한 ‘천만 그루 나무 심기’ 운동을 지난해 마쳤다. 2030년까지는 매년 10만 그루의 나무를 더 심을 계획이다. 이 사업에 따라 줄어드는 이산화탄소(CO2) 감축량은 2030년 기준 46만 4,400톤(CO2 환산)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단순히 이산화탄소만 줄여주는 게 아니라 도심 내 미세먼지 저감, 여름철 도시 열섬 완화 등 다양한 부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대구시는 전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하는 대책도 세워 이산화탄소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 중립’에 지방자치단체의 동참이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업들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이 확산되는 가운데 지자체도 ‘탄소 중립’을 통한 환경 및 사회 책임을 강화하는 기류가 전방위로 전파되면서다.

19일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자발적인 탄소 저감 실행을 위해 지난해 발족한 ‘탄소중립지방정부실천연대’에 가입한 지자체는 이달 기준 185곳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 81곳에서 1년도 안 돼 100곳이 넘는 지자체가 추가 가입할 정도로 탄소 감축에 앞장서겠다는 지역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지자체발(發) 탄소 저감 운동에 불이 붙은 것은 환경부와 환경공단의 물밑 지원도 한 몫 했다. 환경공단은 탄소 중립 의지는 있지만 실천 방안을 잘 몰랐던 지자체를 위해 기후변화 대응 계획 수립 등 컨설팅을 실시하는가 하면 각 지자체를 돌면서 온실가스 관리 역량 강화 교육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강원도와 전라남도, 대구·울산광역시, 창원·고양·당진·안양시 등이 환경공단의 온실가스 감축 컨설팅을 받고 관련 정책 및 사업을 늘리고 있다. 공단 측은 지난해 발족한 지방정부실천연대를 지원하기 위한 사무국도 운영하고 있다. 환경공단 관계자는 “지자체 차원에서 기후 행동을 확산시키는 한편 다양한 탄소 중립 사업을 발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서일범 기자 squiz@sedaily.com


세종=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