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 노르트 스트림 2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하루 전날인 지난 1월 19일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노르트스트림(Nord Stream)2’ 가스관 건설 사업에 참여한 러시아 선박 ‘포르투나호’를 제재 명단에 올렸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이 공사를 중단시킬 수 있다면 어떤 일이든 하겠다”며 정책 계승을 다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8년 7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서 노르트스트림2 건설에 적극적인 독일을 겨냥해 “러시아의 포로가 됐다”는 독설까지 퍼부었다.

관련기사



노르트스트림2는 러시아 우스트루가로부터 독일 그라이프스발트까지 천연가스를 수송하는 1,200여㎞ 길이의 가스관이다. 이 공사를 마치면 러시아에서 독일로 수송되는 가스 규모는 기존의 노르트스트림1을 더해 두 배가량으로 늘어나고 독일은 가스 대부분을 러시아에 의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러시아가 2014년 크림반도 합병 때 가스 공급 통제로 우크라이나를 괴롭혔던 전력이 다시 거론된다. 러시아가 유사한 방식으로 유럽 국가들을 쥐락펴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독일은 노르트스트림2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 에너지 수급 문제를 해결하고 남는 건 외국에 팔아서 일거양득을 노리겠다는 계산인 것 같다. 1월 미국의 러시아 선박 제재 때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미국이 자국 영토 바깥에서 벌어지는 일에 이런 조치를 취하는 건 옳지 않다”고 반박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봐야 한다.

최근 러시아에 주재하는 한 독일 외교관이 “80㎞만 더 깔면 노르트스트림2가 완공된다”고 밝혔다. 미국은 추가 제재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미국산 셰일 가스를 유럽에 더 팔아 에너지 패권을 강화하려는 포석도 깔려 있는 듯하다. 러시아는 ‘자원 공유’를 내세우면서도 경제적 이익과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강국들이 모두 그럴듯한 명분을 앞세우지만 실제로는 에너지 안보와 경제적 이득에 더 신경 쓰고 있다. 우리도 국익과 안보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념에 갇힌 ‘탈원전’ 정책을 멈추고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등을 통해 에너지 안보 역량 강화와 경제적 실익 증진에 중점을 둘 때다.

/문성진 논설위원


문성진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