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입학도 전에 폐과라니" 학생들 분통…교원단체도 "경제논리 개입 안돼" 반발

■ 지방대 구조조정 벌써부터 잡음

차정인 부산대 총장이 지난 19일 부산교대 본관 앞에서 부산교대 총동창회 회원들의 실력 행사에 막혀 되돌아가고 있다. 이날 예정된 부산교대와 부산대 통합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은 부산교대 총동창회와 학생회 반대로 일단 취소됐다./부산=연합뉴스차정인 부산대 총장이 지난 19일 부산교대 본관 앞에서 부산교대 총동창회 회원들의 실력 행사에 막혀 되돌아가고 있다. 이날 예정된 부산교대와 부산대 통합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은 부산교대 총동창회와 학생회 반대로 일단 취소됐다./부산=연합뉴스




정부가 자금 유동성이 나쁜 한계대학에 대한 폐교·청산 절차를 예고했지만 학생회·총동창회·교원단체 등 학교 구성원의 저항이 불 보듯 해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이미 전국 각지에서는 통폐합과 정원 감축을 둘러싼 갈등이 적지 않게 이어지고 있다.



지역 거점 대학인 부산대와의 통폐합이 추진되고 있는 부산교대는 구성원들의 거센 반발로 내홍을 겪고 있다. 부산교대 총동창회는 “초등 교육은 전인교육을 하는 특수성을 지닌다”며 “교대가 종합대학에 흡수 통합되는 것은 초등 교육을 말살하는 것”이라며 통폐합에 반기를 들었다. 전국교육대학총동창회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도 지난달 부산교대와 부산대 통합과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70여 년 동안 최고의 초등교원 양성기관으로 발돋움한 교육대학을 낡은 경제 논리로 일반 대학과 일방 통합하려는 초등 교육 말살 행태를 즉각 철회하라”며 비판했다.

관련기사



지난 3월 한국음악과·신소재화학전공 등 전공에서 신입생 모집을 중단하기로 결정한 동국대 경주캠퍼스 역시 학생들의 저항이 거세다. 입학하기도 전에 지원 학과가 폐지될 위기에 처한 신입생들은 ‘말도 안되는 결정’이라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입학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학교에 대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지만 이해 당사자인 자신들에 대한 의견 수렴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는 학생들로서는 이 같은 결정이 억울할 수밖에 없다. 동국대 측은 학생들이 민원을 제기하자 “해당 학과는 역량 평가에서 최하위를 기록했고 폐과에 앞서 공청회·간담회 등 소통을 거쳤다”고 답했다.

/허진 기자 hjin@sedaily.com


허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