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T·네이버 잇단 ‘러브콜’받은 카이스트…“하이퍼AI 함께하자”

카이스트, KT와 초거대 AI 협약 발표 이어

네이버도 손잡고 "초창의적 AI 연구·개발 "

기업 데이터-대학 연구 역량 결합 트렌드


차세대 인공지능(AI) 기술을 겨냥해 국내 대표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잇달아 대학과 손잡고 연구·개발(R&D)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존 가장 앞서가는 AI로 꼽히는 ‘GPT-3’를 표방하며 국내 최적화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다. GPT-3은 기술력으로는 단연 최고지만 영어 기반이어서 우리말인 한국어로 정교한 답을 찾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산학(産學)이 공동으로 연구소를 세우는 등 협력 관계를 맺고 이른바 ‘초거대(Hyperscale) AI’ 개발에 나서고 있다.

24일 네이버는 카이스트(KAIST) AI 대학원과 ‘초창의적(Hypercreative) AI 연구센터’를 설립, 초거대 AI를 활용한 공동 R&D에 나선다고 밝혔다. 네이버와 카이스트 AI 연구원 100여 명이 참여하고, 3년간 수 백억 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사진 설명사진 설명






초거대 AI는 최신 컴퓨팅 역량을 기반으로 막대한 데이터를 투입하고 원하는 답을 찾아내는 기술이다. 기존 AI가 특정 분야의 단순한 답을 내는데 집중했다면 초거대 AI는 고도화돼 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 얼굴을 인식하면 그 사람이 누구인지뿐만 아니라 표정과 감정 등 맥락까지 읽어내 무엇을 원하는지까지 추론해낼 수 있다. 초거대 AI가 ‘인간 뇌를 쏙 빼닮았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관련기사



네이버가 KAIST와 함께 개발하기로 한 초창의적 AI는 초거대 AI를 기반으로 한 단계 더 진화해 AI가 창작까지 해내는 기술이다. 주재걸 KAIST AI 대학원 교수는 “정해진 문제만 푸는 것에서 더 나아가 창의력이 요구되는 미술, 음악,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AI”라며 “초거대 AI보다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어렵다”라고 설명했다. 네이버와 KAIST는 좋은 스토리와 창의적 아이디어가 있다면 누구나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AI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KT(030200)도 지난 23일 KAIST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AI·SW(소프트웨어) 기술 연구소를 설립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대덕2연구센터에 세워지는 이 연구소는 연내 공식 출범할 계획이다. KT 직원과 카이스트 교수, 연구원 등 약 200명이 상주하며 초거대 AI 연구·개발을 한다. 네이버는 초거대 AI와 관련해서는 서울대학교와 함께 연구 센터를 설립한다. 센터에는 네이버와 서울대 연구원 100명이 투입된다. 3년간 연구비와 인프라 지원비 등 수 백억 원의 투자가 이뤄질 계획이다.

기업과 대학이 공동 연구소를 세우면서까지 AI 역량에 집중하는 이유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해외 빅테크 기업에 맞서 더 이상 뒤처져선 안 된다는 위기의식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대로 가다간 AI 싸움에서 패배해 글로벌 기업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며 “벼랑끝에 몰렸다는 절박한 심정이다”라고 말했다. 기업은 방대한 데이터와 최신 시설 등 인프라 측면에서, 대학은 교수와 학부생을 비롯한 석·박사 등 AI 전문 인력 등에 강점을 가지고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유석영 KAIST 전산학부장은 “‘네이버냐 KT냐’, ‘KAIST냐 서울대냐’의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며 “한국 대 글로벌과의 싸움이고 모두가 다 힘을 합쳐 싸워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박현익 beepark@sedaily.com


박현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