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인터뷰]'무브 투 헤븐' 칭찬 감옥에 갇힌 김성호 감독의 진심

넷플릭스 '무브 투 헤븐' 김성호 감독 /사진=넷플릭스넷플릭스 '무브 투 헤븐' 김성호 감독 /사진=넷플릭스




공중파였다면 과연 이 작품을 추진할 수 있었을까….



재벌도, 삼각관계도, 출생의 비밀도, 시기와 질투도 없다. 그저 착한 사람들과 본래는 착한데 잠시 삐뚤어졌던 사람이 홀로 사망한 사람들의 숨겨진 메시지를 전하는 이야기. 딱 한편만 봐도 끝까지 예측이 가능하다.

온갖 막장과 자극에 길들여진 국내 시청자들에게 이처럼 착한 드라마가 어필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유품정리가 소재라니, 시청률이 최우선인 TV 방송사 입장에서도 껄끄러운 것은 당연한 일.

어쩌면 넷플릭스에게 ‘무브 투 헤븐’은 도전, 혹은 실험이었을지 모른다. 좀비, 괴물 등 장르성과 오락성을 앞세운 작품들을 통해 입지를 굳힌 만큼 새롭고 신선한 돌파구가 필요했다. 경쟁업체들은 엄두도 못 낼…. ‘킹덤’과 ‘스위트홈’이 규모로 승부수를 걸었다면 ‘무브 투 헤븐’의 승부수는 소재였다. 그리고 그 도전은 확실히 성공했다.

해외 반응부터 뜨겁다. 각국의 언어를 번역해 봐야 할 만큼 리뷰가 쏟아지고 있다. 특히 작품의 기획의도에 공감한다는 반응들을 보고 김성호 감독은 “드라마 하기를 잘했구나”라고 생각하기도 했다고.

“넷플릭스로 공개되면 체감할 수 있는 반응이 없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엄청나게 많은 리뷰를 받고 있어요. 가장 고마운 반응은 ‘드라마 끝나자마자 옆에 있는 가족, 친구, 아이를 안아줬다’였는데 정말 짜릿하더군요. ‘마스터피스’, ‘돌아가신 부모님과 친척 생각이 났다’는 리뷰도 고마웠고요. 최근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현실을 잊고자 자극적인 이야기가 많은데 보면서 위로받고 현실을 둘러볼 수 있는 드라마의 힘이 아니었을까요. 연출자 입장에서는 억지로 말고 담담하게 진심을 전해보자고 했는데, 목표가 잘 전달된 것 같아요. 딸은 아빠가 칭찬 감옥에 갇혔다고 하던데요.”



막상 시나리오를 처음 받아봤을 때 어렵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고독사와 유품정리의 특수성, 사회적 이슈와 죽음을 이야기 할 수밖에 없으니 보통 여러운 일이 아니었다. 영화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과 ‘엄마의 공책’ 등 따스한 작품들을 많이 만들었던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잘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 같다”며 합류했다.

연출에 끼어들지 않는 넷플릭스 특성상 여러 자유로운 시도가 가능했다. 그럼에도 유품정리와 관련된 사연, 캐릭터의 밸런스 조화 등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김 감독은 너무 신파나 자극적이지 않게, 담담한 시선으로 주변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그게 어떻게 전달될지가 가장 큰 걱정이었다.



“계속 영화만 하다가 긴 드라마의 호흡은 처음이잖아요. 저와 스태프 모두 ‘아주 긴 호흡의 영화’라고 생각했어요. 극장에서 보는 영화와 달리 드라마는 환경 자체가 다른 만큼 시청자를 어떻게 끌고 갈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어요. 그야말로 영화같은 드라마를 만들겠다는 욕심에 도전적인 부분을 투영하려 했죠. 편집하면서도 고민이 많았어요. 중요한 부분의 순서를 달리 해보기도 하고. 캐릭터에 감정이입하거나 끌어가는 힘이 중요했고, 이야기의 개연성과 맞춰 결국 최적점을 찾았어요.”



하고 싶은 이야기는 명확하다.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떠난 이들의 본심, 진심, 그 뒤의 진실. 이를 어떻게 전달하느냐가 큰 도전이었다. 어머니에게 무심했던 아들이 끝내 방바닥에 눌러붙은 5만원 지폐들의 의미를 알게 됐을 때 무너져 내리는 모습은 모든 ‘자식’들에게 말없이 할 말이 많았다. 김 감독은 5부와 6부에 등장한 경비원 이야기를 통해 이 과정을 설명했다.

“내가 아는 경험과 힘을 최대한 동원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내가 느꼈던 것을 전달하고자 했어요. 경비원의 죽음이 아파트 갑질 등 여러가지 복합적 요인과 연결됐기에 자칫 소재주의로 끝낼 수 있거든요. 진심을 꺼내는게 어려웠어요. 최대한 담담하고 정확하고 진정성 있게 전달하려 편집에서 많은 시도를 했습니다.”



배우들 역시 작가와 연출의 진심에 공감했다. 아스퍼거 장애를 가진 한그루(탕준상)와 삼촌 조상구(이제훈)가 서로를 견제하다 티격대며 서서히 가족이 되어가는 과정은 아주 자연스러웠다. 적은 분량임에도 작품의 좋은 취지를 듣고 단번에 캐스팅에 응해준 지진희를 비롯한 여러 중년 배우들의 연기 역시 단면만 보일 수 있는 작품에 여러 감정을 불어넣었다.

“이야기를 담담하게 전달하기 위해 한그루를 아스퍼거 장애가 있는 인물로 설정했어요. 극을 이끌기 위한 도구인 만큼 격한 신파 없이, 유품정리사 업무를 관습적지 않게 그리고 싶었어요. 자폐 스펙트럼 치료과정 중 그루에게 잘 맞는게 뭔지 여러 형태를 찾아봤고, 자연스럽게 도구화시켰어요. 이를 탕준상의 모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입혔고, 배우 본인도 끊임없이 연구하면서 표현을 했어요. 쉬는 시간에도 그루화 됐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조상구 캐릭터는 아주 매력적이잖아요. 어느 배우가 봐도 하고 싶을거에요. 과거사 많고 베일에 싸이고 거친 인생을 살고, 조카와 함께 생판 모르를 일들을 하며 변화하는 굴곡이 크기에 배우로서 욕심이 안 날 수가 없죠. 저는 조상구가 ‘선한 진심’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가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이제훈은 그 포장을 벗겨내면 인간미가 나오는데 그게 중요했어요. 작품의 진심과 본심이 통할 수 있는 것도 배우의 기본적인 아우라에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작품은 마치 공식처럼 일정한 패턴을 두고 각각의 에피소드가 전개된다. 죽음-유품정리-고인의 메시지 전달 순서가 반복된다. 에피소드별 소재는 다르지만 같은 방법으로 저마다의 이야기를 전달하며 이를 익숙해지게 만든다. 그리고 한그루와 조상구 본인들을 마지막 에피소드의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이 모든 일이 누구나에게 일어날 수 있음을 이야기하려는 듯 하다.

“공식이라고 생각하지는 않고 일종의 패턴처럼 보인건 있을거에요. 유품정리사라는 직업과 사연을 끌어오는 이야기. 사적인 이야기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사람들에게 애정을 줘야할 부분이 있어서 진정성 있게 다가가는게 중요했어요. 그루의 생소한 시선이 유품정리에 관심을 갖게 한다면, 상구는 오해를 풀고 성장하며 마음을 주고 시선을 주는 모습을 전하려고 했어요. 메시지 전달보다는 주위를 둘러볼 수 있는 주의와 관심을 보여주고 싶었죠."

"코로나가 이렇게 오래갈지 몰랐잖아요. 올해를 넘기고 작품을 공개하는 시점까지도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시는데, 주변을 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보자는 처음 마음이 강해졌네요. 현실을 떠날 수 있는 드라마가 많은데 오히려 주변을 돌아보고 잊었던 무심했던 사람들에게 시선을 돌리고 위로가 되고 희망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최상진 기자 csj8453@sedaily.com


최상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