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표준연, 양자 상태 평가·측정하는 정밀측정기술 개발 성공

KRISS, 한양대, 고등과학원, ETRI 공동 연구진

기존 기술보다 5배 이상 정확, 양자통신?양자컴퓨팅 정확도 향상 기대

KRISS 양자기술연구소 이상민 책임연구원이 양자 상태를 평가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KRISSKRISS 양자기술연구소 이상민 책임연구원이 양자 상태를 평가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KRISS





국내 연구진이 양자통신과 양자컴퓨팅에 쓰이는 정보 단위인 큐비트 상태를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정확도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KRISS 이상민 책임연구원, 박희수 양자기술연구소장, 한양대 이진형 교수, 고등과학원 김재완 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방정호 선임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공동연구진이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단순한 규칙을 활용, 시간 소요가 거의 없는 머신러닝 방법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양자상태 정밀측정기술은 양자정보 기술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핵심기술이다. 양자암호통신을 포함한 양자정보 기술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양자정보기술에서 측정은 그 자체가 정보처리 과정의 일부이기도 하다. 측정 행위가 측정 대상인 양자상태에 영향을 주고, 이런 상호작용을 양자컴퓨터의 계산 과정이나 양자통신에 활용하기 때문이다. 부정확한 측정은 정보의 오류를 유발하며, 응용기술은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양자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하려는 연구는 꾸준히 수행돼왔다. 그러나 원자나 광자* 같은 양자역학적 입자들을 직접 측정하는 양자기술의 특성상, 측정 대상의 수가 많지 않아 정밀도가 제한적이다.

관련기사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머신러닝 방법론이 사용돼왔다. 기존에 제안된 대부분의 연구는 양자 입자를 단계별로 측정해 특정 값을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단계별로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양의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시간 소요가 큰 계산 과정을 거쳐야 했다.

공동 연구진은 이론적으로 최적의 자원효율성을 가지면서 기존의 기술들이 달성하지 못한 수준의 정확도로 단일광자 큐비트 측정이 가능함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이는 기존 결과보다 적어도 5배 이상의 정확도를 갖는다.

이 기술의 대표적 예로, 인공위성 양자암호통신의 송신부와 수신부의 기준 축을 실시간으로 정렬·보정하는 작업에 적용할 수 있다. 우주 위성에서 활용되는 양자통신은 광자들의 편광을 이용해 양자정보를 전송하는데, 기준축 정렬의 부정확도에 따라서 암호키 분배율이 떨어지거나 분배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복잡한 계산없이 빠른 광정렬을 수행할 수 있어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KRISS 이상민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양자통신 장치의 최적화와 같은 양자응용기술의 실질적인 속도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물리 분야 최고권위 저널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4월 30일 온라인 게재됐다.

KRISS 양자기술연구소 이상민 책임연구원이 양자 상태를 평가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대전=박희윤 기자 hypark@sedaily.com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