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코로나 시대의 역설?…청소년, 가족관계 좋아졌지만 학교 만족도는 줄었다

■2021 청소년 통계

가족관계 만족도 70.4%→73.5%

"코로나 학교생활에 부정적" 48.4%

스마트폰 의존·인터넷 이용 증가

46% "학업 스트레스 늘어"

지난 3월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모습. /연합뉴스지난 3월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코로나19로 초·중·고등학교 온라인 수업이 이뤄지자 청소년의 가족 관계 만족도가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생활 만족도는 떨어졌고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청소년은 늘어났다.

25일 통계청의 ‘2021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청소년(13~24세)의 73.5%가 전반적인 가족 관계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8년 만족도(70.4%)에 비해 3.1%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는 2018년 74.6%에서 지난해 76.6%로 2%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형제자매와의 관계 만족도도 68.7%에서 71.0%로 올랐다.




코로나19로 인한 삶의 변화를 물었을 때도 가족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응답이 22.1%로 부정적 응답(9.6%)보다 많았다. 반면 학교생활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변했다는 응답이 48.4%로 긍정적 응답(11.4%)을 압도했다. 사회에 대한 신뢰(43.7%),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전망(41.6%), 친구 관계(26.6%) 모두 코로나19로 인해 부정적으로 변했다는 응답이 많았다.

관련기사



지난해 코로나19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늘었다는 응답도 46.0%에 달했다. 13~18세(48.2%) 연령대에서 학업 스트레스가 늘었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19~24세(47.2%), 9~12세(39.9%) 순이었다.

온라인 수업이 시행되면서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시간도 크게 늘었다. 10대의 인터넷 이용 시간은 27.6시간으로 전년 대비 10.0시간 증가했다. 특히 교육·학습 목적의 인터넷 이용은 10대와 20대에서 전년 대비 각각 16.4%포인트, 12.4%포인트 증가했다.

10대 청소년의 35.8%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대비 5.6%포인트, 2018년 대비 6.5%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남자(35.0%)보다 여자(36.5%)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중이 소폭 높았다. 학교급별로는 중학생(39.6%)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에 가장 취약했고 이어 고등학생(35.0%), 초등학생(30.5%) 순이었다.

/세종=박효정 기자 jpark@sedaily.com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