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석탄발전 → LNG 전환 비용 14.4조…인력도 27% 줄여야

"부지 등 종합 고려…속도조절 필요"


정부가 탈탄소 정책에 속도를 붙이는 가운데 공공 발전사가 석탄발전소를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로 전환하는 데 드는 비용이 14조 원을 웃도는 것으로 확인됐다. 발전원 전환과 맞물려 공정이 단순해지면서 필요 인력도 현재보다 27%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인 탄소 감축 추세에 따른 석탄발전 축소는 불가피하지만 비용과 인력·부지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점진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또 이산화탄소포집기술(CCS) 등 신기술 발전 등을 고려해 폐쇄 일정을 다시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7일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전력 산하 발전 5개사가 오는 2034년까지 석탄발전소 19기(용량 기준 11.77GW)를 LNG발전소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사업 비용이 약 14조 3,5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가동 연한 30년이 도래하는 석탄발전을 폐지하고 이 중 일부를 LNG발전소로 전환하기로 했다. 탈석탄 정책으로 무더기 적자를 보고 있는 발전사들은 사업 전환 비용을 또 떠안아야 한다. 발전 자회사 5곳은 지난해 총 3,610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신설되는 LNG발전소의 인력은 1,575명으로 현재(2,149명)보다 26.7% 줄어든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 신규 사업에서 유휴 인력을 수용한다고 하지만 종사자들의 불안감은 가중되고 있다. 무더기 전환에 따른 지역 경제 붕괴도 문제다. 충남도의 경우 2032년까지 14기의 석탄발전소를 폐쇄하면 관련 지자체의 세수는 물론 일자리 등도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김우보 기자 ubo@sedaily.com


세종=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