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결혼도 아이도 "No"…20대 절반 "나 혼자 살래요"

■가족관계 1·2인 가구로 대전환

2030 전통적인 가족 가치관 변화

독신 34%·비혼 출산 26%가 찬성

1·2인가구 62%…"주거비 큰 부담"

"저출산·고령화 속도 가팔라져…

정부 새 가족형태 지원책 마련해야"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20대의 53%가 비혼 독신과 무자녀 등 전통적인 가족 형태를 벗어난 가족 개념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전체 가구의 62%가 1·2인 가구로 재편된 상황에서 앞으로 이 같은 흐름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도 새로운 가족 형태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법 개정 추진과 정책 지원 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저출산·고령화라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에다 앞으로 가구의 주축이 될 2030세대의 가치관이 급속하게 바뀌고 있는 만큼 보다 전향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30일 여성가족부는 통계청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지난해 실시한 ‘제4차 가족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15년 3차 조사 이후 5년 만에 진행된 것으로 지난해 9월 전국 1만 997가구의 만 12세 이상 모든 가구원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사진 설명사진 설명




조사 결과 전통적인 가족상에서 벗어난 가족 형태에 동의하는 비율이 5년 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결혼하고 아이를 낳지 않는 것에 동의한다’고 응답한 이들은 조사 대상 중 28.3%로 2015년(21.3%)에 비해 7%포인트 늘었다. 최근 방송인 사유리 씨로 인해 화제가 된 ‘비혼 출산’에 대한 동의율도 2015년 9.5%에서 지난해 15.4%로 5.9%포인트 증가했다. ‘비혼 독신’과 ‘비혼 동거’에 동의하는 비율도 각각 34%와 26%로 직전 조사와 비교했을 때 1.6%포인트, 4.9%포인트씩 늘었다. 전체 가구 가운데 1·2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62.1%에 달하는 등 가구 구성이 달라지는 추세와 맞물린 변화라는 평가다.

관련기사



비혼 동거를 선택하는 이유로는 ‘경제적인 이유’가 31.0%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결혼 제도나 규범에 얽매이지 않으려고(18.9%)’ ‘살아 보면서 상대에 대한 확신을 가지려고(18.6%)’와 같은 응답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젊을수록 가족 다양성에 대한 인식도 개방적이었다. ‘무자녀’에 대한 동의율은 20대의 경우 52.5%에 달했지만 30대는 36.1%, 50대는 18.6%, 70대는 7.5%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동의율이 낮아지는 양상이 뚜렷했다. 특히 20대는 비혼 독신(53%), 비혼 동거(46.6%), 비혼 출산(23%)에 동의하는 비율도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이정심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이러한 추세로 볼 때 앞으로 가족 형태의 다변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19년 30%를 넘어서는 등 빠르게 증가하면서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처음으로 1인 가구에 대한 실태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1인 가구는 여성이 53%로 남성(47%)보다 많고 연령은 50대 이상의 고령층이 61.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로 살면서 가장 부담되는 항목은 주거비(35.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식비(30.7%)와 의료비(22.7%)라는 응답이 이어졌다. 연령별로는 30대(53.0%)가 주거비에 가장 부담을 느꼈다. 40대는 49.4%, 20대는 43.2%, 50대는 40.5%가 주거비를 가장 큰 부담으로 언급했다. 정부에 바라는 지원으로도 1인 가구의 절반인 50.1%는 ‘주택 안정 지원’을 언급했다. 이어 돌봄 서비스 지원(13.4%), 건강 증진 지원(9.7%), 가사 서비스 지원(7.0%) 순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소득은 50만∼100만 원 미만(25.2%)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100만 원대(25.0%), 200만 원대(18.8%), 300만 원대(10.3%), 50만 원 미만(7.9%)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여성가족부는 각 생애 주기에 적합한 1인 가구 지원 정책을 펴나갈 계획이다. 이 실장은 “1인 가구의 성별·연령 등을 고려한 생애 주기별 정책 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며 “청년·중장년·고령 등 생애 주기별 지원을 확대하고 고독·고립 방지를 위한 사회관계망 지원 사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태영 기자 youngkim@sedaily.com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