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표준연, 반도체 수율 핵심인 플라즈마 실시간 진단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에 사용하는 플라즈마 밀도, 실시간으로 측정

측정 기준기급 센서 세계 최초 개발, 국산 장비산업 경쟁력 강화 전망

KRISS 김정형(사진 왼쪽) 책임연구원과 이효창(〃오른쪽) 선임연구원이 실시간 플라즈마 측정센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KRISSKRISS 김정형(사진 왼쪽) 책임연구원과 이효창(〃오른쪽) 선임연구원이 실시간 플라즈마 측정센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KRISS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가동 장비를 멈추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기에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성능평가 및 제품 수율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표준연은 첨단측정장비연구소 반도체측정장비팀 이효창 선임연구원과 김정형 책임연구원이 플라즈마 변수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밀도측정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웨이퍼 공정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플라즈마 밀도값 및 균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측정불확도 2% 이내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반도체 소자의 저전력화, 선폭 초미세화, 3차원 구조화에 따라 반도체 플라즈마 공정의 난도가 높아지고 있다. 플라즈마 공정은 반도체 회로 패턴 가운데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불필요한 부분은 깎아내는 작업인 식각 공정에 사용된다.

식각 공정의 안정성은 반도체 생산성·수익성의 척도인 수율로 이어진다. 잘못된 식각 공정으로 회로 부분이 끊기거나 균일하지 않으면 생산된 반도체 칩에 오류가 생기고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지금까지는 공정 중 웨이퍼 영역의 플라즈마 변수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없었다. 해외에서 독점적으로 양산 공정에 활용되는 센서가 있지만 이는 웨이퍼의 온도 혹은 전압 균일도를 측정하는 간접 측정 방식이다.

관련기사



간접 측정 센서는 공정을 멈추고 센서를 삽입해 측정하는 비실시간 방식으로 공정 이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어렵다. 투입 후에는 공정환경 정상화를 위해 오랜 시간이 필요해 반도체 수율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센서 개발을 위해 point-type, ring-type, bar-type 등의 구조를 선정하고 신호감도 및 자체 공진특성에 관한 이론계산과 실험을 병행해 bar-type의 평판형 센서를 최적 구조로 도출했다. 이후, 평면형 프로브 실험, 전자기장 시뮬레이션, 회로 모델 개발을 통해 종합적으로 센서의 측정 신뢰성을 평가했다.

이번 기술은 한국 원천 특허 등록을 기반으로 미국·유럽·중국·일본 등 4개국 특허 출원이 완료됐다. KRISS 연구팀은 기기에 센서가 내장된 ‘지능형 식각공정 장비’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며 외산에 독점화된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기술혁신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KRISS 이효창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센서는 웨이퍼 바닥 부분인 정전척, 에지링, 챔버 벽 등 원하는 부분에 설치할 수 있어 실용적”이라며 “향후 관련 기술의 표준 시험 절차 확립을 통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부품 장비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플라즈마 측정 기준 장비로 활용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플라즈마 과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플라즈마 소스 사이언스 테크놀로지(Plasma Sources Science and Technology)에 게재됐다.

한편 지난 5월 이효창 선임연구원은 플라즈마 측정과학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연간 단 1명에게만 수여하는 유럽물리학회의 플라즈마 신진과학자상(Noah Hershkowitz Early Career Award)을 수상했고 플라즈마 소스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저널의 Editorial Board에 선임됐다.

/대전=박희윤 기자 hypark@sedaily.com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