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2곳 가운데 1곳꼴로 지난해 고용 인원(종업원 수)을 줄인 것으로 집계됐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코스피 시장 상장사의 고용 축소 비율이 코스닥 상장사보다 크게 증가했다. 주 52시간 근로제와 최저임금 인상 등 고용 부담을 키우는 정책이 쏟아지는 비우호적인 경영 환경에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까지 덮치자 고용 시장에 충격을 준 것이다. 비교적 경영 사정이 낫다고 평가되는 상장 기업의 고용 충격이 이 정도라면 외부에 잘 드러나지 않는 영세 사업장의 고용 상황은 더욱 처절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7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서울경제 의뢰로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1,911개 기업의 지난해 고용 규모를 전수 조사한 결과 한 해 전보다 고용이 줄어든 기업은 절반이 넘는 1,001곳(52.4%)에 달했다. 코스피 상장사의 경우 전체 703곳 가운데 57.3%인 403곳이 고용 규모를 줄였다. 이는 직전 2019년의 333곳, 비율로는 절반에 못 미치는 47.4%였던 것과 비교하면 10%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코스닥 시장도 고용을 줄인 기업 수가 2019년 전체 1,208곳 중 519곳(43.0%)에서 598곳(49.5%)으로 늘었다. 조사는 각 사 사업 보고서를 바탕으로 2018~2020년 3년간 비교 가능한 자료가 있는 상장사를 대상으로 했다.
고용이 줄어든 기업 가운데 매출과 영업이익까지 함께 감소한 상장 기업 수는 461곳으로 2019년의 342곳보다 119곳 늘었다. 각종 반기업 정책이 쏟아지는 가운데 코로나19 악재까지 터지면서 외형이 쪼그라든 기업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경영 실적이 악화하자 신규 채용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고정 지출 비용을 줄여 위기에 대응했다는 분석이다.
김용춘 한경연 고용정책팀장은 “기업들의 기초 체력이 점점 떨어지던 중에 코로나19 사태까지 터지며 고용 시장에 찬바람이 불었다”며 “고군분투하는 기업들이 위기의 터널을 빠져나와 일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기업 규제를 풀고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재영 기자 jyha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