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美 국무부 “北 인권상황 개선해야…가장 독재적인 나라 중 하나”

미 국무부, 북한 인권 문제 지적

동시에 "외교적 노력 지속할 것"

스콧 버스비 미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 담당 수석부차관보 대행. /연합뉴스스콧 버스비 미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 담당 수석부차관보 대행. /연합뉴스




미국 국무부가 9일(현지시간)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이 대북 문제의 장기적 해법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북한의 핵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지속할 것을 강조했다. 이는 한미 정상회담 이후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새 대북정책 관련 공식적인 반응이 없는 북한을 압박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스콧 버스비 미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 담당 수석부차관보 대행은 이날 하원 외교위 아태소위원회가 ‘인도태평양 지역의 민주적 가치’를 주제로 연 청문회에 제출한 서면답변에서 “북한은 전세계에서 가장 독재적이고 억압적인 나라 중 하나”라면서 “북한 인권 상황 개선은 북한 문제를 장기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학대를 당하는 수감자가 1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며, 북한은 주민들을 계속해서 잔인하게 다루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인도태평양 지역에는 북한 내 만연한 탄압을 비롯해 중국의 신장 위구르족 대량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미얀마 군사쿠데타 등 다양한 인권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조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대북정책 검토를 마무리했다”면서 “바이든 행정부 대북정책의 목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이지만 북한 내 심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진전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한미 정상회담 이후 공식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는 북한에 인권 문제를 내세워 압박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 /연합뉴스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 /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북한의 핵문제 해결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계속하겠다”며 대화의 문을 열어뒀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측에서 최근 북한의 핵활동 가능성을 제기한 데 대해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관해 IAEA로부터 들은 우려는 정확히 우리가 (대북) 정책 검토를 활발히 하도록 만든 것”이라며 “이런 이유로 긴급하고 철저하게, 또 엄격하고 포괄적으로 대북정책 검토를 완료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새 대북정책은 북한과 외교를 모색하는 조정되고 실용적인 접근법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프라이스 대변인은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임명을 언급하면서 “그는 계속 이 문제에 깊이 관여할 것”이라며 “가능한 곳에서 진전을 보도록 실용적이고 원칙 있는 외교를 모색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이끌 것”이라고 덧붙였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새 대북정책을 전달하려는 미국의 접촉 시도에 북한의 반응이 있었는지 묻는 질문에 “북한의 반응에 대해 말하고 싶지 않다”며 “나는 업데이트할 내용이 없다”고 일축했다.

/김혜린 기자 rin@sedaily.com


김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