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재난·사고 때 위치 확인 ‘국가지점번호판’ 일제 정비

재난취약지역 사고 등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 대응 가능





경기도가 이달부터 오는 2023년까지 재난·사고 때 구조 위치를 알리는 ‘국가지점번호판’을 일제 정비한다고 15일 밝혔다. 잇따른 안전 대책에도 최근 늘고 있는 대형 인명사고를 조기에 예방하고 구조 작업을 신속히 실시하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국가지점번호판이란 산악·하천 등 건물이 없어 도로명이 부여되지 않은 지역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한글 2자리, 숫자 8자리 등 모두 10자리의 고유번호가 표시된 안내판이다. 경찰·소방·산림청 등이 독자적으로 운영하던 위치표시체계를 일원화하고 재난 취약지역 내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운영 중이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주변의 노란색 국가지점번호판을 찾은 후 119로 신고해 국가지점번호를 불러주면 현재 사고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관련기사



현재 도내에는 등산로와 하천 등 7,839개소에 국가지점번호판이 설치돼 있다. 도는 최근 지점번호 표기 오류 및 중복설치 등 오류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도내에 설치된 지점번호에 대한 일제 정비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일제 정비 기간에는 훼손된 번호판을 정비하는 한편 구조 활동 내용과 번호판 분포 현황을 분석해 필요한 지역에 신규 번호판도 설치할 방침이다.

권경현 경기도 토지정보과장은 “주요 등산로 등 도내 설치된 국가지점번호 정비를 통해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수시 점검하고 관리해 도민의 소중한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수원=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수원=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