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국립외교원장 "日, 약식회담 취소 결례…한국 부각에 심술부려"

"항복 전제로 만나겠다는 것…굴복 요구하는 외교적 무례"

"한국에 외교적으로 불리한 상황 아냐…미국 중재가 최선"

김준형 국립외교원장. / 연합뉴스김준형 국립외교원장. / 연합뉴스




김준형 국립외교원장은 15일 일본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약식회담을 잠정 합의하고도 취소한 것에 대해 “일본의 결례지만 놀랍지는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 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은 취소를) 부인하지만, 지금까지 일본의 자세는 일관되게 이러했다. 그 전에도 한일 정상이 만나기 위해서는 조건을 계속 달아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일본은) 자기들이 소위 말하는 세 가지 선결 조건을 항상 내세웠다”며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을) 그대로 받아라, (한일) 위안부 합의 그대로 받아라,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뒤로 물려라, 이 세 가지"를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건 완전히 굴복을 요구하는 굉장한 외교적 무례다. 우리 항복을 전제로 만나준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원장은 “미국 쪽에서도 한미일, 한일, 한미, 다 만나길 원한다. 한일 사이가 나쁜 것이 미국의 대중(對中) 전략에 있어서 상당히 부담이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자세는 ‘한미일이 모이고 친하자, 한일이 문제를 해결하라’는 것인데, 그렇게 얘기하면 일본은 항상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가 만나서 한일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하는데 일본은 조건을 건다"며 “(일본이 계속 조건을 거니까) 미국이 오히려 당황하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김 원장은 일본이 대화 조건을 거는 이유에 대해 “한국이 계속 부각이 되며 여러 가지 심술도 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는 “G7에서 한국이 중심이 되면서 일본의 분위기가 ‘한국에 이참에 확실하게 본때를 보여주지 않으면 차후에 힘들다’”가 되었다며 “우익 정권이 가지고 있는 국내적인 여론에 대한 반응"이라고 평가했다.

또 G7 정상회의에서 문 대통령이 스가 총리에게 먼저 인사한 점을 일본에서 부각하는 것과 관련, “대인배처럼 지나가면서 인사를 먼저 하는 것”이라며 “찾아가서 조아리는 것처럼 마치 그런 분위기로 만들어 가는 것 자체가 일본이 굉장히 편협하게 외교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원장은 이러한 일본의 태도가 “한국에 외교적으로 결코 불리하지 않다”며 “한일관계를 개선해야 하지만 우리가 그렇게까지 굴욕적으로 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그는 “미국이 중재를 하는 것이 제일 맞는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홍연우 인턴기자 yeonwooh@sedaily.com


홍연우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