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제넥신, DNA백신 플랫폼에 mRNA 기술 더한 하이브리드 백신 특허 출원

DNA 및 mRNA 백신 단점 보완한 기술 개발

/사진 제공=이미지투데이/사진 제공=이미지투데이




제넥신(095700)은 기존의 DNA 백신 플랫폼에 메신저 리보핵산(mRNA) 복제 및 증폭 시스템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백신 기술을 에스엘백시젠과 공동으로 개발해 특허 출원했다고 25일 밝혔다.



DNA 백신은 전기천공법(EP)을 활용하면 별도의 전달체 없이도 세포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안전성이 높다. 다만 mRNA 백신보다 원재료 투입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관련기사



mRNA 백신은 mRNA 자체를 지질나노입자(LNP) 등 전달체와 함께 주입해 체내 세포가 항원 단백질을 만들게 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그러나 작은 충격에도 잘 깨질 수 있어 운송과 보관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달체로 인한 간독성, 아나필락시스, 심근염 등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다.

양사는 두 가지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하이브리드 백신 기술을 개발했다. 체내 주입된 DNA 백신이 mRNA로 전사되는 과정에서 발현된 mRNA가 자체적으로 복제 및 증폭하게 만들어 적은 양의 DNA로도 충분한 양의 항원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제넥신은 "DNA 백신의 장점인 안전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mRNA 백신의 높은 체내 발현율과 면역원성을 더했다"고 설명했다. 제넥신은 이 기술을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DNA 백신 'GX-19N'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성영철 제넥신 대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항원에 뉴클리오캡시드 항원을 추가해 강력하고 폭넓은 T세포 면역반응을 유도, 변이체까지 방어할 수 있는 백신으로 GX-19N을 개발중”이라며 “또한 코로나19가 매년 발생하는 엔데믹이 되거나 또다른 팬데믹 발생에 대비해 DNA 백신 플랫폼의 효능과 생산성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