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코로나19 전파를 막기 위해 국경을 엄격하게 폐쇄한 가운데 백신 구호요원의 방북조차 거부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 경우 코백스(COVAX) 백신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4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북한은 코백스와 백신 공급을 위한 7개 행정절차 중 2개만 마친 상황으로 알려졌다. 코백스는 구호요원이 백신 전달 현장을 반드시 모니터링하도록 하고 있는데 북한은 외부인의 방북을 불허하고 있어 필요한 행정절차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북한은 또 일부 백신에 대해선 안전성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코백스가 당초 공급하려고 했던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에 대해선 부작용에 대해 우려를 표했고, 모든 접종국가에 동일하게 요구되는 부작용 발생시 면책 합의서에도 서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북한은 저온 냉동 보관시설을 필요로 하는 화이자 백신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도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 구축을 돕겠다는 국제사회의 제안에도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회원국 194개국 중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지 않은 나라는 북한, 탄자니아, 아이티, 에리트레아, 부룬디 등 5개국 뿐이다.
백신에 대해선 소극적이지만 북한은 최근 방역에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말 방역대책과 관련 “중대한 사건이 발생했다”며 당 고위 간부를 해임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또 이달 열리는 도쿄 올림픽도 코로나19 발생 우려로 참가를 거부한 바 있다.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이 백신의 안전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어 나타난 현상이라고 보고 있다. 한 대북 전문가는 이와 관련 “북한은 중국 백신 ‘시노백’에 대해서도 효능을 의심하고 있어 중국의 지원을 받지 않고 있다”며 “국제사회에서 백신의 효능이 확실해지고 부작용이 없다는 것이 증명될 때까지는 국경을 걸어잠그고 코로나19 유입을 막는 데만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