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베토벤 바이올린 전곡 연주…클라라 주미 강, 끝모를 도전

 바흐 무반주 전곡 연주 이어

 피아니스트 김선욱과 함께

 9월 예술의전당서 콘서트

오는 9월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연주 공연 펼치는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오른쪽)과 피아니스트 김선욱/사진=빈체로(marco borggreve)오는 9월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연주 공연 펼치는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오른쪽)과 피아니스트 김선욱/사진=빈체로(marco borggreve)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이 오는 9월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연주'에 나선다. 지난 5월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전곡 연주에 이은 또 다른 도전이다. 사흘에 걸쳐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총 10곡을 선보이는 이번 공연에는 피아니스트 김선욱이 함께한다.

7일 클래식 공연 기획사 빈체로에 따르면 클라라 주미 강은 오는 9월 12일과 14·15일 사흘에 걸쳐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클라라 주미 강 & 김선욱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공연을 펼친다. 1798~1812년 사이 작곡된 총 10곡의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는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긴밀한 호흡이 돋보이는 대표적인 듀오 레퍼토리다.



많은 사람이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로 알고 있는 베토벤은 훌륭한 바이올리니스트이기도 했다. 18세기 초반만 해도 바이올린은 피아노와 같은 수준의 솔로 악기가 아니었는데, 바이올린의 위상을 높인 주역이 바로 베토벤이다. 이번에 클라라 주미 강이 들려 줄 10개의 작품들은 베토벤 음악의 변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초기 고전 시대의 기틀 안에서 모차르트·하이든으로부터의 영향이 느껴지는 소나타 1~3번, 청년 베토벤의 활력이 느껴지는 5번 ‘봄’, 청력 상실을 현실로 받아들여야 했던 혼돈의 시기에 탄생한 소나타 7번, 협주곡만큼이나 화려하고 극적인 음악으로 대중의 사랑을 받는 소나타 9번 ‘크로이처’, 그리고 명상적 분위기 속 깊이 초월의 세계를 품고 있는 최후의 소나타 10번까지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10곡의 소나타들은 고전 시대부터 낭만 시대를 관통한다.

관련기사



첫날 무대에서는 소나타 1·4·8·7번 순으로, 두 번째 공연에서는 6·3·9번을, 마지막 날엔 5·2·10번을 연주한다. 대조적인 분위기 때문에 함께 연주되곤 하는 4번과 5번을 다른 날 선보이는 점이 눈길을 끈다. 빈체로는 “사흘 간 각기 다른 곡을 연주하는 공연이기 때문에 작품의 분위기와 대중성 등을 고려해 일자별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며 “매번 공연에서 다른 감상을 얻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 연주자는 서울에서의 3회 공연 외에 강원도 평창 계촌마을을 비롯한 전국 10개 도시 투어로도 관객을 만날 예정이다.

서울 공연 일반 티켓 예매는 8일 오후 4시부터 진행한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