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S&P, 韓 성장률 전망치 3.6%→4,0%

내년 전망치는 3.1%→2.8%로 낮춰

수출·투자 개선되지만 가계소비는 약세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연합뉴스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연합뉴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7일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개월 만에 3.6%에서 4.0%로 상향 조정했다. 내년 전망치는 3.1%에서 2.8%로 낮췄다.



S&P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 숀 로치 전무는 이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아시아 무엇이 달라졌나' 주제로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경제 회복 전망은 낙관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그는 더딘 민간소비 부문을 경제 회복의 걸림돌로 봤다. 그는 "수출은 꽤 탄탄하게 지속되고 투자도 개선되고 있는데, 가계 소비는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경제 회복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가계 소비 회복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기준금리와 관련해선 "연말이나 내년에 기준금리 인상이 있고, 내년 말까지 1.25%로 예상한다"며 "1.25% 이상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현재 기준금리는 0.5%로, 한국은행은 연내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로치 전무는 "인플레 위험은 한국 등 아시아에서는 일시적이고 내년에는 소멸할 것"이라며 "가계와 서비스부문 지출이 낮고 노동시장도 타이트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플레는 올해 2%를 밑돌고, 내년에는 1.5%로 보고 있다"고 내다봤다.

수출 호조가 국내 기업들의 신용도 회복을 견인하고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 박준홍 S&P 이사는 "코로나19로 인해 반도체를 비롯한 다양한 수출품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올해 '긍정적' 등급조정이 2019~2020년에 비해 늘어나는 등 기업들의 신용등급 개선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S&P는 현재 평가하고 있는 국내 기업 중 67%에 '안정적', 25%에 '부정적', 8%에 '긍정적' 신용등급 전망을 부여하고 있다.

'부정적' 전망은 지난해 최고치인 35%에 비해 크게 낮아진 반면, '긍정적' 전망은 5%를 밑돌았던 수준에서 높아졌다. S&P는 최근 업황 개선을 반영해 SK하이닉스와 LG전자의 등급전망을 긍정적으로 조정한 바 있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