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中 공산당 리스크”…기술주 2조 투자 ‘중학개미’ 눈물

[항셍테크, 2월 고점 대비 30%↓]

정부 '빅테크 때리기'에 투심 위축

개별종목·ETF 투자자 모두 큰 손실

"자칫 기업 없어질까 물타기도 겁나"

증권가 "中 기술혁신 강조…4분기 기대"





“1층(1만 원) 아래 지하실이 있었네요. 코리아디스카운트는 알았는데 차이나디스카운트는 처음 겪어봐요.”



“개별 종목도 아니고 지수 상장지수펀드(ETF)가 몇 달 새 30% 넘게 빠지는 게 가능한가요. 다시는 공산주의 국가에 투자하지 않을 렵니다.”

중국 빅테크(대형 기술주)로 구성된 홍콩의 항셍테크가 주요국 증시의 호조 속에서 유일하게 연저점을 경신하자 중국 주식 사랑이 남다른 국내 투자자들의 상실감도 커지고 있다.

9일 항셍테크는 전날보다 111.30(1.52%) 오른 7,433.28포인트에 장을 마쳤다. 전일인 지난 8일 종가 기준 연저점인 7,321.89로 장을 마친 항셍테크는 이날 상승에도 불구하고 2월 중순보다 30% 넘게 하락했다.



‘동양의 나스닥’을 표방해 지난해 7월 출시된 항셍테크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의 혁신 기업 30종목을 담고 있는 지수다. 알리바바(8.22%)와 샤오미(7.91%), 메이투안(7.77%), 텐센트(7.64%) 징둥닷컴(6.52%), 콰이쇼우(6.85%), SMIC(5.00%), 비야디(1.77%) 등 빅테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관련기사



지난해 우수한 성과와 국내 투자자가 선호하는 ‘중국’과 ‘기술주’의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며 항셍테크는 출시 이후 적잖은 국내 자금이 유입됐다.

항셍테크 부진의 원인은 미중 갈등과 중국 정부의 규제다. 중국 정부는 지난 7일(현지 시간) 미국 증시 상장을 강행한 최대 차량 공유 업체 디디추싱에 대해 국가안보법 위반 심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미국을 겨냥해 “중국을 괴롭히면 머리 깨져 피 흘릴 것”이라고 발언하는 등 미중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미국 증시 상장을 택한 기업에 ‘괘씸죄’를 적용한 것이다. 이어 8일에는 알리바바를 포함한 22개 기업에 대해 반독점 위반 벌금을 각각 50만 위안씩 부과했다. 중국 정부가 규제 전선을 기술주 전반으로 확대하는 듯한 인상에 투자자들의 불안이 커진 것이 지수 종목의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중국 기술주의 성장성을 믿은 국내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 격’이 됐다. 지난해 12월 주요 운용사(미래·삼성·KB·한국)가 국내 증시에 상장한 4종의 항셍테크 ETF에만 3,000억 원이 넘는 자금이 몰렸다. 하지만 지수가 연저점을 깨면서 이들 ETF도 상장 후 최저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상장 당시 가격(1만 원)에도 미치는 못하는 9,300~9,400원선을 오르내리고 있다.

여기에 국내 투자자들이 중국남방운용의 항셍테크 ETF에 직접투자한 금액(300억 원)과 항셍테크에 포함된 텐센트(약 4,700억 원), 비야디(1,964억 원), 알리바바그룹(1,670억 원), SMIC(1,404억 원) 등 개별 종목에 직접 투자한 금액까지 고려하면 약 2조 원을 투자한 투자자들이 중국 기술주의 부진에 가슴앓이를 하고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갈등의 또 다른 축인 미국 기술주의 주가는 고공 행진을 하고 있는 점은 투자자의 상대적 박탈감을 더 키우고 있다. 나스닥은 8일(현지 시간)에도 0.72% 하락한 14,559.79포인트에 장을 마쳤지만 이전까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해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실적을 바탕으로 한 7일 종가 기준 나스닥과 항셍테크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15.39, 24.64로 다섯 배 차이가 난다.

다만 증권가는 미중 갈등이 심해질수록 중국 정부가 빅테크에 대한 지원으로 돌아설 수밖에 없는 만큼 하반기 중국 빅테크의 반등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정부에 밉보이면 회사가 휘청거릴 수밖에 없는 중국 정치 구조 탓에 개별 종목보다는 ETF 투자가 안정성 면에서 확실한 장점을 갖고 있다는 분석이다.

박수현 KB증권 연구원은 “시 주석이 최근 공산당 100주년 행사에서 국가 부흥 및 현대화를 강조했고, 특히 미국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낸만큼 미국을 추월하기 위해 반도체, 자율주행 (전기차, AI, 클라우드 컴퓨팅 등), 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할 것”이라며 “3분기에 반독점법 (6개 항목) 시행세칙 발표가 예정돼 있기 때문에 이후 4분기부터는 반등 흐름이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