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원격제어로 크레인 조종" LG유플러스, 여수광양항에도 스마트항만 구축한다

크레인 2대 5G MEC로 원격제어

여수광양항만공사·광양항서부컨테이너터미널·전남도청 MOU

지난 4월 부산 신감만부두 동부부산컨테이너터미널에서 원격제어를 통해 조종되는 RTG 크레인의 모습 /정혜진기자지난 4월 부산 신감만부두 동부부산컨테이너터미널에서 원격제어를 통해 조종되는 RTG 크레인의 모습 /정혜진기자




LG유플러스(032640)가 여수광양항에 5세대 이동통신(5G) 다중 접속 엣지컴퓨팅(MEC) 기반의 원격제어 크레인 구축에 나선다. 앞서 부산항 신감만부두에 이어 두번째로, LG유플러스는 스마트항만 사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여수광양항만공사·광양항서부컨테이너터미널·전라남도청과 함께 여수광양항에 5G MEC 원격제어 크레인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연내 여수광양항에서 운용하는 컨테이너 운반용 (RTG) 크레인 2대에 MEC와 저지연 영상전송 솔루션을 적용해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도 마치 현장에서 크레인을 운전하는 것과 같은 원격제어 솔루션을 구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MEC(Multi-access Edge Computing)란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데이터센터를 서비스 현장에 가깝게 배치하고, 5G의 초저지연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이를 활용하는 5G MEC 원격제어 크레인은 조종사가 야적장에서 멀리 떨어진 조종실에서 컨테이너 크레인을 조종해도 실제제 조종하는 것과 오차가 거의 없게 한다. 원격제어를 통해 컨테이너 적재 단수가 확대되고 유휴시간 자동적재가 가능하여 생산성이 40%가량 높아질 수 있다. 또한 25m 상공의 조종실에서 8시간 동안 작업해야 하는 조종사의 근무환경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지난 달 30일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가 서울 용산구 사옥에서 B2B분야 사업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LG유플러스지난 달 30일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가 서울 용산구 사옥에서 B2B분야 사업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LG유플러스


이를 위해 LG유플러스는 터미널 내에 최적화된 5G 기지국을 구축하고 광주 MEC센터를 활용하여 안정적인 원격제어가 가능한 통신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초고용량 영상을 최대한 압축시켜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저지연 영상전송 솔루션’을 적용한다. 이 솔루션을 5G 네트워크·MEC와 함께 사용하면 지연시간을 100ms 이하로, LTE 대비 영상전송시간을 84% 이상 단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원격제어 크레인을 확대적용하고, 민간에서 부담없이 운영할 수 있도록 전남도청이 운영관련 지원을 할 예정이다.

서재용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상무)은 “부산항에 이어 여수광양항에서도 5G MEC 원격제어 크레인이 구축되어 생산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앞으로 여수광양항에서 진행할 ‘스마트항만’ 사업에 여러 가지 사업 협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