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사랑과 우정사이…로맨스 66%는 친구관계서 시작됐다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남녀간의 불꽃 튀는 로맨스가 영화나 TV 드라마에서 종종 등장하지만 현실은 대게 우정에서 출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학술 저널 ‘사회심리학과 성격심리학(SPPS)’이 지난 12일 온라인으로 공개한 연구에 따르면 로맨틱한 관계의 3분의 2가 우정에서 싹튼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이끈 캐나다 빅토리아대학 심리학과의 대뉴 앤서니 스틴슨 교수는 친구 사이로 시작하는 로맨스를 그동안 연구자들이 간과해왔다고 지적했다. 이전 연구의 75%가 낯선 사람 사이의 로맨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던 것이다. 친구 사이에서 발전하는 로맨스에 중점을 둔 연구는 8%에 불과했다.



스틴슨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파트너를 선택하고 사랑에' 빠지는 방법을 안다고 자신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며 "낯선 사람들이 서로에게 매력을 느끼고 데이트를 왜 시작하는지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연구진은 무작위로 선장한 대학생·성인 1900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 중 66%는 현재 혹은 직전의 로맨틱 관계가 우정에서 출발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친구 관계에서 연인으로 발전한 비율은 20대와 성소수자에서 85%로 훨씬 높게 나타났다. 성별, 교육 수준, 인종과는 차이가 없었다.

대학생의 경우 우정에서 시작해 연인 관계로 발전하기까지 1~2년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애초부터 로맨스를 목표로 우정을 맺은 것은 아니였다. 서로 사랑에 빠지기 전까진 '절친' 사이였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대학생의 거의 절반은 미팅, 온라인 만남보다 친구에서 연인으로 발전하는 방식을 더 선호했다고 말했다.

스틴슨 교수는 이 같은 현상을 언급하며 사랑과 우정에 대한 개념을 다시 들여다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동안 사랑과 우정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형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한마디로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흐릿하다"며 "좋은 우정, 좋은 로맨틱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기존 관념부터 바꿔야 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국내외 이슈를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