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전 노후산단, 디지털혁신 거점으로 뜬다

[상생으로 도약하는 충청경제]

'산단 대개조' 민관 추진단 구성

복합단지 조성·첨단업종 유치 등

R&D 투자·규제 완화 청사진 발표

디지털 혁신 산단을 전환되는 대전산업단지 개발 조감도. /사진 제공=대전시디지털 혁신 산단을 전환되는 대전산업단지 개발 조감도. /사진 제공=대전시




대전산업단지가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에서 디지털 기반의 혁신 산업단지로 새롭게 태어날 전망이다.



대전시는 지난 1970년대 조성된 대전산업단지가 50년 이상 경과되면서 노후 산업단지로 쇠퇴함에 따라 이를 다시 뛰는 역동적 산업단지로 변모시키기 위해 대전산업단지 활성화에 착수했다. 지난 3월부터는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 자문단’을 구성해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해 왔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최근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해 대전산단을 스마트 그린산단으로 전환하는 미래상을 담은 청사진을 발표했다. 갑천변 편입 지역은 주거와 산업이 어우러진 시민 친화적 복합단지로 조성하고 기존 산단은 첨단 업종을 유치해 입주기업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대전시는 이를 위해 입주 제한 업종의 합리적 완화·조정, 특별계획구역 설정 등 토지이용 효율화, 산단 대개조 사업을 통한 첨단화 및 기술 고도화라는 3개 추진전략과 분야별 마련했다. 우선 획일적이고 광범위하게 입주 업종이 제한되고 과도한 규제가 이뤄지고 있다고 보고 재생시행계획 변경을 통해 입주 제한 업종을 합리적으로 완화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제한 업종이 환경 개선 기준을 충족하면 규제 완화는 물론 근린생활시설을 허용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또 오는 2026년까지인 현행 제한 업종의 산단 내 유지기간 유예를 검토해 재산권 행사 등 경영 여건을 개선하고 자발적인 환경 개선과 스마트 전환을 유도할 방침이다.

특별계획구역 설정 등 토지 이용 효율화에도 나선다. 갑천변 편입 지역을 민관 개발로 추진하기로 하고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한다. 이어 민간사업자의 사업성을 확보함으로써 지식산업센터를 유치하고 스타트업 입주 공간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친환경 산단 조성을 위한 이전 대책도 강구해 유해·유치 업종 유출입을 통한 선순환 시스템을 가동하고 마중물 사업을 통한 토지의 효율화도 이룰 예정이다.

산단 대개조 사업을 통해서는 첨단화와 산업단지 기술 고도화에 나서고 연구개발(R&D), 사업화, 근무환경, 스마트 공장 등으로 대표되는 스마트 그린 산단을 조성한다. 시는 전문가와 민관으로 구성된 산단 대개조 추진단을 지난달 구성한데 이어 기업 특성에 맞는 맞춤형 수요조사로 특화된 혁신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에는 국토교통부의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공모에 사업지로 최종 선정되면서 대전산단의 주거여건도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대전산단1은 복합 초연결 지능형 기계, 정보기술(IT) 관련 연구시설 등과 연계한 대전산단1 드림타운으로 선정됐고 대전산단2는 중소기업 근로자 등의 주거안정을 위한 중기근로자 전용주택으로 선정돼 착공을 앞두고 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45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둔산과 대전산업단지를 직접 연결하는 한샘대교가 올해 말 완공을 앞두고 있고 428개의 스타트업부터 중견기업까지 입주할 수 있는 지식산업센터 가온비즈타워도 분양을 앞두고 있다”며 “대전의 대표 노후 산단인 대전산업단지가 지역 산업의 혁신 거점으로 새롭게 태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