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 교통망 확 넓어지고 촘촘해진다

GTX-B건설·2호선 청라 연장 등

2030년까지 철도 308㎞로 늘려

제2순환·제4경인고속道 추진 등

도로망도 3,814㎞까지 대폭 확충

서구~서울 구로구 20분대로 줄듯

인천시 2030 철도 인프라 확충 계획도. /그래픽 제공=인천시인천시 2030 철도 인프라 확충 계획도. /그래픽 제공=인천시




인천시가 인천과 서울을 연결하는 철도와 도로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광역철도망이 인천 전역으로 확장되고 특히 제4경인고속도로(가칭)가 조성되면 인천 서구에서 서울 구로구로 이동하는 시간이 기존 2시간에서 20분대로 줄어 드는 등 인천시민들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GTX-D) 노선을 비롯해 서울지하철 2호선 청라 연장, 서울지하철 5호선 검단·김포 연장, 인천지하철 2호선 고양 연장 등을 추진해 현재 140㎞에 이르는 인천 철도망을 오는 2030년까지 308㎞로 확대한다고 15일 밝혔다.

시는 이와 함께 인천 서구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제4경인고속도로 건설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인천 서구 가좌IC~서울 구로구 오류 IC 구간을 지하화해 인천 에서 서울까지 최대 2시간 걸리던 것을 20분대로 단축하는 프로젝트다. 시는 오는 2023년 공사에 들어가 2028년 완공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광역철도망에서 오는 2030년까지 53.24㎞, 제2공항철도는 16.71㎞, 도시철도 연장 27.08㎞, 신교통(트램) 연장 72.24㎞를 각각 늘릴 방침이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서는 GTX-B 노선은 2026년까지 16.60㎞를 건설하고 2029년까지 11.05㎞, 2030년까지 53.24㎞를 각각 건설하는 계획을 마련했다.

또 GTX-B노선은 인천 연수구 송도동에서 경기 남양주시 마석까지를 ‘대심도 터널식 복선전철’로 연결한다. 사업이 완공되면 인천 송도동에서 서울역까지 도착시간은 기존 80분대에서 20분대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GTX-D 노선은 기존 초안대로 김포 장기에서 부천 종합운동장까지 건설된다. 국토교통부가 최종 발표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르면 송도에서 여의도∼용산∼서울역∼청량리를 거쳐 남양주 마석을 잇는 GTX-B 노선 사업자와 협의해 해당 노선을 GTX-D 열차가 함께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도로망도 대폭 확대된다. 시는 촘촘하고 편리한 도로망 확충을 위해 현재 3,520㎞인 도로망을 2030년까지 3,814㎞로 대폭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영종~강화 평화도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 1월 영종도~신도를 잇는 도로 공사에 착수 오는 2025년 완공하고 이어 2030년까지 신도~강화를 연결하는 평화도로 건설을 완공할 계획이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인천~안산)구간도 오는 2029년 완공할 방침이다. 인천~안산을 연결하는 1구간(시화~남송도IC, 8.4㎞)은 올해 실시설계를 거쳐 2023년 공사에 착수할 예정이며 2029년 완공할 계획이다. 2구간(남송도IC~인천 남항, 11.4㎞)은 올해 안으로 민·관 협의 완료 후 추진할 계획이다.

영종·청라에서 서울을 최단거리로 잇는 제3연륙교와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도 추진한다. 제3연륙교(영종~청라)는 지난해 12월 공사에 착수해 오는 2025년 완공될 예정이다. 경인고속도로 연장 및 지하화(신월IC~서인천IC)는 올해 예비 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3년 착공한 뒤 2028년 개통할 예정이다.

인천 서구에서 서울 구로구를 연결하는 제4경인고속도로를 건설하는 방안도 수립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인천 서구 가좌IC~서울 구로구 오류 IC까지 지하화해 인천 서구에서 서울까지 최대 2시간 걸리는 시간을 20분대로 단축하는 사업으로 2023년 공사에 들어가 2028년 완공할 계획이다.

시는 이와 함께 도심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옛 경인고속도로 인천기점~주안산업단지 교차로 구간에 대해 오는 10월 공사에 착수해 2023년 준공할 방침이다. 이어 주안산업단지 교차로~서인천IC구간은 2022년 공사에 들어가 2026년 완공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철도망과 도로망 인프라 구축에 이어 주택가 주차장 확보율도 현재의 68.6%에서 80%로 확대할 방침”이라면서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자전거 이용 활성화 계획을 마련해 자전거도로의 대순환축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영종·강화 순환축 219.7㎞와 간선축 8개 노선 129.6㎞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