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10년새 33만명↑…고용의 질 악화

한경연 "임금근로자 증가속도 앞질러"

최저임금·경기불황에 고용 여력 악화


최근 10년간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 증가 속도가 임금 근로자 증가 속도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통계청 데이터를 통해 지난 2010~2020년 생산 가능 인구 기준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 연평균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3.6%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전체 임금 근로자 연평균 증가율인 1.3%보다 2.8배 높은 수치다.

관련기사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는 2010년 77만 2,000명에서 2015년 85만 3,000명으로 증가했다가 2016년 79만 8,000명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2017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전환해 지난해 110만 4,000명까지 급증했다.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제가 빠르게 증가한 배경에는 최저임금 급증에 따른 인건비 부담과 경기 불황에 따른 고용 여력 악화 등이 작용했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연령대별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를 살펴보면 50대 이상이 2010년 23만 8,000명에서 2020년 48만 7,000명으로 연평균 7.4%씩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어 청년층(15~29세)이 20만 3,000명에서 30만 9,000명으로 연평균 4.3%씩 증가했고 30대는 11만 6,000명에서 12만 5,000명으로 0.8%씩 늘었다. 반면 40대는 21만 5,000명에서 18만 3,000명으로 1.6%씩 감소했다.

한경연은 청년은 극심한 취업난으로, 50대는 조기·희망퇴직 등으로 시간제 근로로 내몰렸다고 분석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가 급증했다는 것은 구직자가 원하는 일자리가 충분하지 않다는 의미”라며 “공공 일자리 확대 정책보다는 기업 규제 완화 등으로 민간 고용 여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