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1,600점 조선 금속활자 발견된 공평동에…'국내 최대' 유적 전시관 짓는다

공평동 15·16지구 정비계획안 도계위 통과

'공평룰' 적용해 용적률 상향 등 인센티브 제공





최근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동국정운식 표기가 반영된 금속활자 등이 출토된 공평동에 국내 최대 규모의 유적 전시관이 들어선다.

22일 서울시는 지난 21일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정비계획안을 결정했다. 종로구 인사동 87번지 일대 공평동 제15·16지구에 들어서는 이 전시관의 규모는 총면적 4,745㎡로 인근의 ‘공평유적전시관(공평동 제1·2·4지구)’의 1.25배에 달하는 규모다.



공평동 제15?16지구 도시 정비형 재개발구역은 지난 2019년 ‘서울시 도시?건축 혁신 시범 사업’으로 됐다. 피맛길과 도시 조직의 역사성을 보존하고, 정비와 존치의 조화를 이루는 ‘혼합형’ 정비 수법을 도입해 정비계획이 결정된 바 있다.

관련기사



이후 지난해 3월부터 문화재 조사를 시작해 배수로와 옛길, 주거지 등 보존가치가 높은 매장문화재를 발굴했으며 최근에는 금속활자와 천문시계, 물시계 등 조선의 과학적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을 다수 출토했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1,600여 점의 금속활자는 조선 전기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인 동국정운식 한글 금속활자를 비롯해 ‘갑인자’로 추정되는 한자 금속활자로 추정된다. 제작 시기와 사용 시기로 봤을 때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발명해 사용된 금속활자다.

발굴 유적에 대한 전면 보존이 필요하다는 문화재청의 판단에 따라 서울시는 애초에 결정된 정비계획을 변경하고자 ‘공평 룰’에 부합하는 정비계획(안)을 수립하여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했다. 매장문화재를 전면 보전하는 유적 전시관을 조성하여 기부채납(전용 4,745.1㎡, 총 연면적 7,273.21㎡)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공평 룰’은 문화재 전면 보존 시 공공은 용적률 상향 등 인센티브를 제공, 민간은 매장문화재를 전면 보존 후 기부채납을 하는 민관 협력 방식의 ‘보존형 정비사업 모델’이다. 지난 2015년 공평동 1,2,4지구(공평 도시유적전시관)에 최초 적용된 바 있다. 이에 따라 계획상 높이 70미터(m), 용적률 803퍼센트(%) (지하 8층~지상 17층)가 높이 104미터(m), 용적률 1,052퍼센트(%) (지하 8층~지상 25층)로 완화된다.

서성만 균형발전본부장은 “이번 공평동 15?16지구의 정비계획 결정을 통해 낙후된 도심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발굴된 역사유적과 유물들이 도심 상업 가로와 유기적으로 소통하며 역사 문화 도심에 걸맞은 도시 공간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