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트럼프 지지자 의회폭동때 핵가방까지 털릴 뻔 했다

美 국방부, 안전절차 자체 평가 계획

'지구파멸 무기' 공포만큼 논란도 반복

지난 1월 6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연방 의회에 난입한 모습. /로이터연합뉴스지난 1월 6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연방 의회에 난입한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올해 초 의회난동 때 미국 대통령의 핵가방이 탈취당할 우려가 있었다는 사실이 뒤늦게 전해졌다. 로이터 통신, CNN방송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 감사실은 대통령이 핵무기 공격을 명령할 때 쓰는 핵가방(nuclear football)의 안전 절차를 평가할 계획이라고 20일(현지시간) 밝혔다.



국방부 감사실은 핵가방이 분실되거나 도난당하거나 악용될 때 상황을 탐지해 대처할 역량의 수준을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점검 계획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올해 1월 6일 연방 의회에 난입해 일으킨 폭동 때문에 추진됐다. 당시 트럼프 지지자들은 대선결과를 인증하는 상·하원 합동회의에 난입해 의원들을 위협하고 기물을 파손했다. 참석자 중에는 당연직 상원의장으로 백업용 핵가방을 근처에 지니고 있던 마이크 펜스 당시 부통령도 있었다. 미국 의회가 입수한 동영상에는 시위대가 30m까지 접근하자 펜스 부통령과 핵가방을 든 보좌관이 피신하는 장면이 나온다.

지난 1월 6일 미국 워싱턴의 연방 의회에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난입한 모습. /AFP연합뉴스지난 1월 6일 미국 워싱턴의 연방 의회에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난입한 모습. /AFP연합뉴스



'대통령 긴급사태 가방'으로도 불리는 핵가방에는 대통령이 백악관 밖에서 핵 미사일 발사를 승인할 때 쓰는 암호가 담겨있다. 미국 대통령은 의회, 행정부, 군부의 동의를 받지 않고 핵 단추를 누를 권한을 냉전기 이후인 1940년대부터 보유해왔다. 이런 독점 권한은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무기의 사용을 군부가 아닌 민간인이 결정하도록 한다는 취지로 해리 트루먼 행정부 때 만들어졌다.

관련기사



의회폭동 때문에 다시 논란이 되긴 했으나 핵 가방이 탈취되더라도 실제 핵 무기가 발사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익명의 소식통은 로이터 통신에 의회폭동 과정에서 핵 가방이 직접적으로 위태로워진 시점은 없었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은 핵가방이 탈취돼 사용되더라도 군부가 핵무기 사용 명령을 재확인해 처리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마이크 펜스(오른쪽) 전 미국 부통령. /AP연합뉴스마이크 펜스(오른쪽) 전 미국 부통령. /AP연합뉴스


핵무기 발사는 핵전쟁으로 세계 파멸을 의미할 수도 있는 까닭에 핵가방을 둘러싸고 수시로 논란이 불거져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7년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오찬을 할 때도 핵가방 때문에 갈등이 빚어졌다. 핵가방을 든 보좌관의 입장이 중국 보안요원에게 제지되자 존 켈리 당시 백악관 비서실장까지 가세해 승강이를 벌였다.

올해 초 미국 정권이 교체되던 시기에도 핵가방을 두고 논란이 뜨거웠다.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은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핵무기 사용 명령을 내리더라도 따르지 말 것을 군 수뇌부에 주문했다. 펠로시 의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의회폭동 선동 혐의로 사임, 탄핵 압박을 받고 있어 돌출행동을 저지를 우려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 1월 20일에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는 순간까지도 핵가방을 두고 마찰은 계속됐다. 트럼트 전 대통령이 후임자인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 백악관을 떠나 별장이 있는 플로리다로 떠나면서 핵가방도 함께 가져갔기 때문이다. 핵가방이 두 개가 되는 전대미문 상황이 연출되다가 결국 임기가 끝나는 쪽의 핵가방은 비활성화됐다.


박신원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