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자국 기업 단속 속 전기차 패러데이퓨처 美상장

“한국서 年27만대 생산도 옵션”

패러데이 퓨처의 플래그십 차량인 FF 91./EPA연합뉴스패러데이 퓨처의 플래그십 차량인 FF 91./EPA연합뉴스




중국 당국이 자국 기업의 미국 증시 상장에 대한 통제에 나선 가운데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인 패러데이 퓨처가 미국 증시에 상장했다. 디디추싱과 같은 기술기업의 미국 상장을 강력하게 제어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이후 중국 기술기업이 미국 증시에 상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3일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 등에 따르면 패러데이 퓨처는 22일(현지시간)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와 합병하는 방식으로 미국 나스닥에 우회 상장했다.

패러데이 퓨처는 이번 상장을 통해 약 10억 달러(약 1조1,500억 원)의 자금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45억 달러(5조1,700억 원)에 달했다. 중국 사업가 자웨팅이 설립한 패러데이 퓨처는 과거 ‘중국판 테슬라’로 가장 빨리 성장할 수 있는 회사로 주목을 받았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인 양산 단계에 도달하지 못했다.

관련기사



이 회사는 당초 2019년 가격이 20만 달러 이상인 고급 차종 FF 91을 생산할 계획이었으나 자금난으로 생산 일정이 계속 지연됐다.

패러데이 퓨처는 이번 상장으로 확보된 자금을 이용해 FF 91, FF 81 등 주력 차종 생산 시점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패러데이 퓨처는 상장과 동시에 12개월 내 인도 조건을 제시하면서 FF 91 예약 판매에 들어갔다.

회사 측은 플래그십 제품인 FF 91은 본사가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 핸퍼드 공장에서 제작하되 가격이 7만 달러에서 시작할 크로스오버 차량인 FF 81은 한국 협력사인 엠에스오토텍에 맡겨 생산할 계획이다.

가격대로 봤을 때 FF 91은 벤츠 마이바흐나 롤스로이스 같은 최고급 차종과, FF 81은 테슬라의 고급 제품인 모델S와 모델X와 각각 경쟁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카슨 브라이트필드 패러데이 퓨처 최고경영자(CEO)는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30개월 후 한국의 계약사인 엠에스오토텍이 만드는 FF 81이 출시될 예정”이라며 “한국 생산량을 27만대까지 늘리는 선택 방안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