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고폰 유통문화 바꾼 민팃…2년 간 85만 대 수거

재료비·온실가스·환경오염비용 ↓

사회적 가치 176억 원 창출

국내 최초 인공지능 기반 중고폰 매입기 ‘민팃ATM’을 고객이 이용하고 있다./사진 제공=SK네트웍스국내 최초 인공지능 기반 중고폰 매입기 ‘민팃ATM’을 고객이 이용하고 있다./사진 제공=SK네트웍스




ICT리사이클 브랜드 ‘민팃(MINTIT)’이 출시 2년 만에 중고 휴대전화 85만대를 수거했다. 투명한 중고 휴대전화 유통문화를 만들어 자원 재활용 등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다.



민팃은 지난 2019년 8월 민팃ATM을 본격적으로 시장에 선보인 뒤 지금까지 중고 휴대전화 85만대를 매입·수거했고, 170억 원대의 사회적 가치 창출 효과를 거뒀다고 29일 밝혔다.

관련기사



기존 중고 휴대전화 거래는 개인정보 노출 우려 탓에 음성적이고 복잡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수 고객들은 중고 휴대전화를 판매하기보다는 개인 보관하거나 폐기처리했다. 그러나 민팃의 등장으로 중고 휴대전화 거래가 활성화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민팃 관계자는 “믿을 수 있는 가격정보 제공, 안전한 데이터 처리 등 고객에게 편리한 경험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민팃은 휴대폰 평가·시세 조회·판매·기부 등 모든 거래 과정을 비대면으로 진행토록 설계됐다. 또 민팃ATM의 기능을 개선하고 고객 접점을 늘리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했다. 전국 3,300여개 네트워크를 확보, 중고 휴대전화 거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민팃이 지난 2년 동안 수거한 중고 휴대전화는 총 85만 대다. 이 중 2만 3,000여대를 ICT 취약계층 아동을 돕기 위해 기부했다. 수거 대수를 사회적 가치로 환산하면 176억 원에 이른다.

민팃ATM(오른쪽)과 민팃ATM 2세대(민팃ATM 미니) 기기./사진 제공=SK네트웍스민팃ATM(오른쪽)과 민팃ATM 2세대(민팃ATM 미니) 기기./사진 제공=SK네트웍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