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 수능은 칸막이 없이 시험…백신 미접종자도 응시 가능

교육부 '대입 관리방향' 발표

점심시간만 3면 칸막이 설치

백신 맞았더라도 마스크 써야

지난해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한 대전시 서구 괴정동 괴정고등학교 학생들이 칸막이가 설치된 책상에서 시험을 치르고 있다. /대전=연합뉴스지난해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한 대전시 서구 괴정동 괴정고등학교 학생들이 칸막이가 설치된 책상에서 시험을 치르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 이후 두 번째 치러지는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지난해와 달리 시험 시간에 칸막이가 설치되지 않는다. 수험생들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여부와 상관없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다만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시험을 봐야 한다.



교육부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22학년도 대입 관리방향’을 발표했다. 올해 수능이 지난해와 크게 달라진 점은 시험 시간에 칸막이가 사라졌다는 것이다. 수험생들은 마스크를 쓴 채 시험을 치르게 된다.

관련기사





다만 마스크를 벗고 음식물을 섭취해야 하는 점심시간에만 종이 재질의 3면 칸막이가 책상에 설치된다. 감독관 또는 관리 요원이 2교시 시험 종료 후 나눠주는 칸막이를 수험생 각자가 본인 자리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이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의 백신 접종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감염병 전문가 및 방역 당국과 논의를 거쳐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칸막이 미설치를 제외하면 올해 수능은 지난해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코로나19 확진자와 자가격리자 모두 수능을 볼 수 있다. 수능의 중요성을 고려해 백신을 맞지 않아도 응시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고3 학생은 1차 접종이 마무리됐고 이달 20일까지 2차 접종이 이뤄진다. 졸업생 등‘ N수생’ 수험생은 이달 10일부터 접종을 시작한다.

일반 수험생은 최대 24명으로 인원이 제한된 일반 시험장에서 응시한다. 격리 수험생은 별도로 마련된 고사장에서, 확진 수험생은 사전에 지정된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에서 시험을 치른다. 수험생들은 고사장에서 발열 검사를 실시하며 증상이 있을 경우 각 고사장 내 별도 시험실에서 응시하게 된다. 별도 시험실은 수험생 간격을 2m 이상 유지한다.

교육부는 수능 이후 치러질 대학별 평가에서도 자가격리자와 확진자의 응시 기회가 충분히 보장되도록 대학에 권고할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이 평가 실시 이전에 응시자 유형에 따라 일반 고사장과 별도 고사장, 격리자 고사장을 대학 내에 마련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