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경제지표는 '금리 인상' 향하지만…코로나가 관건

■국내 통화정책 향방은

물가 2% 웃돌며 인플레 불안 가중

코로나로 자영업자 피해는 눈덩이

이주열 등 한은 수뇌부 고심 깊어


거시경제 지표와 실물경제 상황이 기준금리 인상으로 향하고 경제 수장들도 금리 인상을 원하는 형국이지만 오는 26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둔 한국은행 수뇌부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 속에 거리 두기 강화로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시점이 연말에서 10월쯤으로 앞당겨질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10일 한은 내부에서도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여건은 무르익었다는 반응이 나왔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제로 수준 금리에 부채가 계속 늘며 ‘금융 불균형’이 악화하는데 경제부총리가 금리 인상을 말할 정도” 라며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가계 부채 책임을 한은이 몽땅 떠안을 판"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부동산 관련 대국민 담화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을 이례적으로 거론하며 집값 고점을 경고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6월부터 금리 인상을 예고한 데다 금융위원장에 내정된 고승범 금통위원은 지난달 15일 기준금리 인상 의견을 공식 제시해 경제 수장 3인이 모두 금리 인상에 적극적인 특이 상황이다.

최근 실물경제와 거시 지표도 이달 금리 인상을 지지하는 모양새다. 7월 수출은 사상 최대를 기록했는데 소비자물가는 지난달까지 한은 목표치인 2.0%를 4개월 연속 웃돌며 인플레이션 불안을 높이고 있다. 최근 한은뿐 아니라 당국의 최대 우려 포인트인 가계 부채는 지난달 5대 시중은행에서만 6조 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은 6월 말 기준 1,030조 4,000억 원으로 올 상반기에만 초저금리와 집값 상승을 타고 41조 6,000억 원 급증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세가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확산하며 거리 두기도 덩달아 강화된 ‘코로나 전쟁’의 한복판에서 기준금리를 올려 쓰러지기 직전인 자영업자들의 허리를 부러뜨릴 수 있다는 지적은 이 총재를 비롯한 금통위원들의 금리 인상 결정을 머뭇거리게 하는 대목이다. 한은의 한 핵심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이르면 20일 나올 조사국의 수정 경제전망치를 본 후 인상 여부가 결정되겠지만 거리 두기 최고 단계가 또 연장되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