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종합화학, 美 플라스틱 재활용 기업과 MOU…‘재활용 3대 역량’ 확보한다

내년 재활용 공장 착공·2025년 가동 목표

5만톤 규모의 PP 플라스틱 쓰레기 재활용

나경수 SK종합화학 지난달 1일 SK이노베이션 스토리데이에서 ‘파이낸셜 스토리’ 혁신을 완성하기 위한 실천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SK종합화학나경수 SK종합화학 지난달 1일 SK이노베이션 스토리데이에서 ‘파이낸셜 스토리’ 혁신을 완성하기 위한 실천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SK종합화학




SK종합화학이 미국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업 퓨어사이클 테크놀로지와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업계에서 ‘난제’로 여겨진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이하 PP)도 재활용을 시도하며 친환경 사업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퓨어사이클 테크놀로지는 올해 3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회사로, 포장용기, 차량 내장재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플라스틱 종류인 PP 재활용에 특화된 선도 기업이다. PP 기반 플라스틱은 여러 소재와 첨가제가 섞여 재활용이 어려운 재질로 알려졌다. 이 회사는 솔벤트를 고온에서 높은 압력을 가해 기체와 액체 중간 상태로 만든 후, 폐플라스틱 조직 사이로 침투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로 난제를 해결했다.

관련기사



SK종합화학은 퓨어사이클 테크놀로지와 합작법인을 설립해 내년 말 국내에 재활용 공장을 착공해 2025년부터 상업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5만톤 규모 PP 플라스틱 쓰레기를 재활용해 기존에는 화학공정에서 생산하던 신제품만큼 상품가치가 높은 PP를 생산할 계획이며 생산능력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SK종합화학은 △폐비닐에 열을 가해 납사 등 원료를 얻어내는 ‘열분해유’ 기술 △오염된 페트병과 의류를 화학적으로 분해해 재활용하는 ‘해중합’ 기술에 더해 이번 협력으로 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3대 핵심 역량’을 확보하게 됐다.

나경수 SK종합화학 사장은 “이번 협력은 회사 사업구조를 탄소에서 그린으로 전환해 ESG 선도 기업으로 거듭나기위한 차원”이라며 “폐플라스틱 자원 선순환 구조를 완성해 ‘친환경 화학회사’라는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