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바이든, 아프간에 미군 증원…대사관 직원 등 탈출 지원

기존 4,000명 외에 1,000명 추가 배치…철군입장은 유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내 미군을 기존 계획보다 1,000명 늘린 5,000명을 배치한다고 밝혔다. 현지 미국 요원의 안전한 탈출을 위해서로 이달 말까지 미군 철수를 완료하겠다는 입장도 유지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아프간에 5,000명의 미군 배치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현지 미 대사관 직원과 동맹국 요원의 안전한 감축, 그리고 아프간전 때 미국을 도운 현지인의 대피를 돕는 임무를 수행한다.

미국은 지난 4월 바이든 대통령이 2001년 9·11 테러로 시작된 아프간전을 끝내겠다고 선언한 이후 이달 31일 완료를 목표로 현지 주둔 미군의 철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탈레반이 장악 지역을 넓히며 수도 카불까지 위험해지자, 미 정부는 지난 12일 대사관 직원을 대폭 축소하고 이를 돕기 위해 3,000명의 미군을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 배치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이 임무를 위해 남겨둔 1,000명 외에 3,000명을 더한다는 발표였는데,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여기에다 1,000명을 추가하겠다고 공표한 것이 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미국 요원과 임무를 위험에 빠뜨리는 어떤 행동도 미국의 신속하고 강력한 군사적 대응에 직면할 것임을 탈레반 측에 전달한다”는 경고 목소리도 냈다.



이어 아프간에서 추가 유혈사태를 막고 정치적 합의를 추진하기 위해 아슈라프 가니 아프간 대통령을 지원하라고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에게 지시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러나, 바이든 대통령은 "다른 나라의 내정에 미국의 끝없는 주둔은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라며 철군 방침을 재확인했다. 그는 아프간 정부군이 자신의 나라를 지킬 수 없다면 미군이 1년 또는 5년을 더 주둔해도 아무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12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정부군과 탈레반 반군의 전투가 벌어지고 있는 제2대 도시 칸하다르 주변에서 연기가 치솟고 있다. /AP연합뉴스12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정부군과 탈레반 반군의 전투가 벌어지고 있는 제2대 도시 칸하다르 주변에서 연기가 치솟고 있다. /AP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은 전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올해 5월 1일을 철군 시한으로 탈레반과 합의하고 이미 미군을 2,500명까지 줄인 상황에서 정권을 물려받았다고도 설명했다.

따라서 자신은 군대를 안전하게 철수시켜야 할지, 다시 싸우기 위해 늘려야 할지 선택지에 직면했다며 자신은 2명의 공화당과 1명의 민주당에 이어 아프간 주둔 문제를 다루는 4번째 대통령이었다고 밝힌 뒤 "나는 이 전쟁을 5번째 대통령에게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미 CBS 방송은 복수의 외교·안보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36시간 내에 소수의 핵심 인력만 제외하고 주아프간 대사관 직원의 대피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대사관에 남는 인원은 국무부 외교경호실(DSS)의 특수요원, 대사 등 최고위 정책 결정자들이다.

대사관의 나머지 직원, 고용된 현지인과 가족은 셔틀을 타고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으로 이동한다. 이 공항에는 비자 심사, 출국 등의 업무를 위해 격납고에 만일의 사태를 대비한 대사관이 설치될 것이라고 CBS는 전했다.


김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