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여성 포용 선언, 사면령 발표… 탈레반, 잇단 ‘유화책’ 내놔

새 정부 출범 위해 민심 수습

아프간 주민들은 "못 믿겠다"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 대원들이 (현지 시간) 차에 탈레반 깃발을 달고 아프간 수도 카불을 순찰하고 있다. /연합뉴스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 대원들이 (현지 시간) 차에 탈레반 깃발을 달고 아프간 수도 카불을 순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한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이 전국에 사면령을 내리는 등 잇단 유화책을 내놓고 있다. 새로운 정부를 출범시키기 위해 민심을 수습하는 차원이지만, 현지 주민들은 ‘탈레반을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17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탈레반은 이날 문화위원회 소속 에나물라 사망가니의 명의로 된 성명을 통해 대대적인 사면령을 발표했다. 탈레반은 그러면서 "모두에 대한 일반 사면령이 선포된 만큼 확실한 신뢰를 갖고 일상을 시작하라"고 당부했다.

특히 여성에 대해서는 그들이 희생자가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며 인권 존중을 약속했다. 탈레반은 "정부 구조가 완전히 확실하지는 않다"며 "하지만 완전한 이슬람 리더십이 있으니 (여성, 공무원 등) 모든 이들은 정부에 합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탈레반은 과거 통치기(1996∼2001년) 때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법을 앞세워 엄격하게 사회를 통제했다. 여성은 취업, 각종 사회활동이 제한됐고 남성은 수염을 길러야 했다. 하지만 탈레반은 지난 15일 정부의 항복 선언 후 발표한 여러 메시지에서는 부드러운 목소리를 내고 있다.

관련기사



동시에 새 정부 구성 논의도 시작했다.

아프간 톨로뉴스는 이날 '탈레반 2인자' 물라 압둘 가니 바라다르가 도하에서 이를 위해 국제사회 및 아프간 내 정치 세력들과 접촉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과거 집권기에 국제사회로부터 따돌림받은 점을 고려해 이번에는 정상적인 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아프간에 머물고 있는 아프간 주민들은 탈레반의 유화책을 믿지 않는 분위기다. 실제 외신에 따르면 탈레반은 최근 총공세를 펴는 동안 공무원이나 정부에서 근무했던 민간인 등을 찾아내 살해하는 등 잔혹한 면을 보이기도 했다. 현재 카불 주민도 전투나 학살은 없지만 탈레반에 대한 불신과 두려움 때문에 외출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글로벌 뉴스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