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가 적자 방치”…서울 등 5개 지하철 노조 “내달 14일 총파업”

5개 노조 쟁의투표 79% 찬성

구조조정 중단·정부 대화 촉구

23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에서 열린 전국 6대 지하철노조 투쟁 선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23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에서 열린 전국 6대 지하철노조 투쟁 선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을 비롯해 전국 5개 지하철 노조가 내달 14일 총파업에 나선다. 이들은 서울교통공사의 구조조정 계획 철회, 각 운영기관 재정난 해결, 정부와 대화를 요구하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철도지하철노조협의회는 23일 오전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협의회는 전국 지하철의 재정 적자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국가 책임을 요구한다”며 “내달 14일 전국 지하철 노동자는 쟁의권을 가진 조직을 중심으로 총파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전국 6개 지하철 노조 연대조직이다.



지난 12일부터 22일까지 노조 5곳은 쟁의찬반투표를 진행했다. 서울노조 82.6%를 비롯해 부산(68.6%), 인천(82.8%), 대구(80.1%), 대전(85.3%) 5곳에서 찬성 과반수 이상으로 쟁의가 가결됐다. 지하철 노조 조합원 1만8,991명 중 1만3,367명(78.9%)이 찬성표를 던졌다. 광주는 내달 초 투표를 진행한다.

관련기사



협의회는 전국 지하철 운영기관들의 경영난은 정부가 방치한 결과라고 지적하며 파업 이유라고 밝혔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로 경영난이 악화되면서 더 커진 적자를 구조조정으로 해결하려고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노사 갈등이 가장 첨예한 곳은 서울교통공사다. 협의회는 “서울교통공사를 비롯해 6개 공사의 작년 손실은 2조 원 가까이 된다”며 “정부는 기업과 재벌을 살리는 데 천문학적 재정을 투자하지만, 지하철은 못 본 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공사는 명예퇴직, 외주화, 업무통폐합 등으로 1,500여개 일자리를 줄이는 구조조정안을 내놨다.

협의회는 서울공사의 구조조정 철회, 도시철도 공익서비스에 대한 정부 재정 책임을 규정한 법안 통과, 노조와 운영기관, 정부로 구성된 논의테이블 마련을 요구했다. 협의회는 “이 요구가 관철되도록 26일 전국 지하철 역에서 공동행동 조직을 결의한다”며 “9월 14일 총파업과 서울 집중 투쟁을 한다”고 강조했다.

단, 노조는 정부 협상 결과에 따라 파업 여부가 유동적일 수 있다는 점도 전했다. 만일 서울 지하철 노조 파업이 이뤄지면, 이는 2016년 성과연봉제 반대 총파업 이후 5년 만이다. 이번처럼 전국 6개 지하철 연대 파업은 일어난 전례가 없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