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 수에만 집중하면 사망자나 중증 환자 수가 줄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게 됩니다. 확진자 증가가 경제 재개 계획에 영향을 줘선 안 됩니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22일(현지 시간) 현지 언론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방역 대책의 전환을 예고했다. 봉쇄령에 대해서는 “영원히 갈 수 없다. 지속 가능한 방식이 아니다”라고 했다. 호주에서 지난 21일 하루 확진자 수가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정상화에 속도를 내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한때 한국과 함께 전 세계에서 ‘방역 모범국’으로 꼽혔던 호주의 행보는 우리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준다. 호주의 하루 확진자 수는 지난 6월까지만 해도 수십 명 수준에 불과했지만 시드니, 수도 캔버라를 비롯한 대도시에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면서 최근 들어 하루 1,000명에 육박하는 이들이 확진 판정을 받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백신 접종에 뒤처지면서 경제 재개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통계 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호주의 1차 백신 접종률은 지난 23일 기준 43%에 그쳤다.
호주와 상황이 비슷한 우리 방역 당국도 ‘위드 코로나’에 대한 검토를 시작했다. 이 같은 방역 체계 전환의 조건은 백신 1차 접종률 70% 이상으로 9월 말 이후에 대책의 윤곽이 드러날 것이란 게 우리 정부의 입장이다. 아직 코로나19 4차 유행이 이어지고 있어 방역 대책을 바꾸기엔 이르다는 뜻을 밝힌 셈이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확진자 위주의 대책을 유지하는 사이 시민들은 갈수록 지쳐가고 있다. 하루도 버티기 힘든 자영업자들은 거리 두기 완화만 기다리고 있다. 당장 방역 대책을 풀진 못하더라도 호주처럼 이제는 방역 기조를 달리 생각해야 할 때가 됐다는 점을 국민에게 확실히 알릴 필요가 있다. 찬반 논쟁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야 하는 데다 대책 전환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함이다. 백신 접종을 끝내도 돌파감염이 잇따르는 마당에 바이러스와의 공존은 피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