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4차 유행 확산세 억제…9월 중하순 방역효과 나타날 듯"

감염 재생산지수 1.02→0.99 소폭 하락…"아직 위험한 상황"

"9월 중하순부터 접종 효과 나타날 것…그전까지 감소세 전환해야"

29일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검사소에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29일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검사소에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급격한 확산은 억제하고 있으나, 방역 대응이 느슨해질 경우 확산세가 언제든 더 거세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9일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델타 변이가 우세화되며 6월 말부터 급격하게 증가했던 4차 유행의 확산 추이를 억제한 것은 다행스럽지만, 감소세로 반전되지 않고 여전히 큰 유행 규모가 유지되고 있어 아직도 위험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손 반장은 "여기서 자칫 방심하거나 방역 기조가 이완되면 다시 급격한 유행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 "일본이나 이스라엘, 미국 등 델타 변이를 맞은 다른 나라의 사례를 볼 때 이는 현실적인 위험"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별 유행 상황에 대해서는 "환자 발생이 계속 증가했던 부산, 경남 지역은 유행 규모가 다소 줄어들고 있고 대전, 충청지역은 여전히 환자 발생이 많고 증가하는 추세"라면서 "제주도의 경우 환자 발생은 줄었으나 유행 규모가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통계를 보면 최근 1주간(8.22∼28) 지역발생 확진자 수는 일평균 1,702.6명으로, 직전 주(8.15∼21)의 1,750.7명에 비해 2.7%(48.1명) 감소했다. 이 기간 비수도권의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 수는 650.0명에서 590.2명으로 9.2% 감소했으나 수도권은 1,100.7명에서 1,112.4명으로 오히려 11.7명 증가했다. 또 신규 집단발생 건수는 93건에서 41건으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으나, 감염경로를 조사중인 비율은 30.5%에서 35.8%로 상승해 추가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보건복지부 대변인)이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대본 회의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보건복지부 대변인)이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대본 회의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확진자가 연일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수도 늘고 있다. 위중증 환자 수는 4차 유행이 본격화한 지난달 7일에는 155명이었으나 최근 1주간 위중증 환자는 일평균 417명에 달했다. 지난 24일부터 이날까지 6일 연속 400명대(420명→434명→425명→427명→409명→404명)를 이어갔다. 주간 사망자 역시 74명으로, 직전 주(8.15∼21)의 54명보다 20명 늘었다.

지난주 감염 재생산지수는 0.99로, 직전주의 1.02보다 소폭 낮아졌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확진자 한 명이 주변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 1 이하면 유행 억제를 나타낸다. 손 반장은 이런 방역 지표를 언급하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지금 정체 또는 답보하고 있는 유행 수준을 확연한 감소세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특히 예방접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데 접종의 누적 효과는 어느 정도 시점 이후에 나타날 것으로 보고 그전까지는 더 이상 유행 규모를 키우지 않고 가급적 감소세로 전환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위해 현재의 방역 기조를 어느 정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면서 "외국인 근로자 부분 등 취약점으로 인해 계속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관리를 강화해 여기서 유행이 증폭되거나 확산될 여지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손 반장은 예방접종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나는 구체적인 시점에 대해서는 "여러 시뮬레이션 상으로 보면 현재의 방역 기조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선에서는 9월 중하순부터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예측이 다수"라면서 "당국도 9월 중하순부터 이런 효과가 더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박신원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