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5G 통신 표준화 이끈다…3GPP 최다 의장석 확보

송재연·나렌 탕구두 연구원 부의장으로 선출돼

삼성전자, 업계 최다인 의장석 7석 확보

송재연(왼쪽) 삼성리서치 연구원과 나렌 탕구두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 연구소 연구원. 이들은 각각 3GPP에서 기술표준에 관여하는 통신시스템 미디어기술 분과, 통신망·외부망 인테페이스 기술 분과의 부의장으로 선출됐다./사진제공=삼성전자송재연(왼쪽) 삼성리서치 연구원과 나렌 탕구두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 연구소 연구원. 이들은 각각 3GPP에서 기술표준에 관여하는 통신시스템 미디어기술 분과, 통신망·외부망 인테페이스 기술 분과의 부의장으로 선출됐다./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005930)가 이동통신의 표준을 개발하는 세계 최대 기술표준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에서 최다 의장석을 확보했다. 이를 바탕으로 삼성전자는 5세대 이동통신(5G) 성능 항샹과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술 개발을 주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3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28일까지 열린 SGPP 표준회의에서 송재연 삼성리서치 연구원과 나렌 탕구두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연구소 연구원이 각각 3GPP의 통신시스템 미디어기술(SA4)과 통신망 외부망 인터페이스 기술(CT3) 분과의 부의장으로 선출됐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3GPP내에서 업계 최다 의장석인 7석을 보유하게 됐다. 삼성전자 소속 의장은 2명, 부의장은 5명이다.

SA4는 5G 기반의 동영상 스트리밍과 XR(확장현실) 등의 실감형 미디어를 전송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분과다. 송재연 연구원은 비디오 포맷과 전송을 개발하는 멀티미디어 국제 표준화 기구(MPEG)와 디지털 방송 표준을 개발하는 차세대 지상파 방송표준화 기구(ATSC)에서의 표준 활동과 전문성을 인정 받아 부의장으로 선출됐다.

CT3는 5G 통신망과 외부망을 연결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제정하는 분과다. 나렌 탕구두 연구원은 5G 망을 인터넷 사업자에 개방해 저지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표준 인터페이스 개발 성과를 인정 받아 부의장에 선출됐다. 최성현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전무)는 “5G 기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XR 등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지원과 외부 서비스와 긴밀하게 연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시스템의 진화가 필요하다”며 “이번 3GPP 내 리더십 확보와 함께 삼성리서치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과 5G 생태계를 확대하는 기술 개발 기여를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