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주담대 금리 3개월새 0.45%p… 코픽스 상승폭의 3.5배

금융당국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에

은행, 우대금리 축소 등 가산금리 올려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금리가 3개월 만에 0.5%포인트(p) 가까이 상승했다. 대출 금리의 기준점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상승 폭과 비교하면 3.5배가량 더 올랐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누르기 위해 금융당국이 대출규제의 강도를 높이면서 금리 상슥 폭이 더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3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2.80∼4.30% 수준이다. 이는 약 3개월 전 5월 말(2.35∼3.88%)과 비교해 하단과 상단이 각 0.45%p, 0.42%p 높아진 것이다. 신규 코픽스가 아닌 신(新)잔액 코픽스를 따르는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도 같은 기간 2.284∼4.01%에서 2.673∼4.38%로 상승했다. 최저, 최고금리가 각각 0.389%p, 0.37%p 올랐다.



신용대출 금리는 3일 현재 3.00∼4.05%(1등급·1년)다. 5월 말(2.564∼3.62%)보다 0.43%p 뛰었다.

관련기사



반면 같은 기간 신규 코픽스는 0.13%p, 신잔액 코픽스는 변화가 없었다. 시중은행 주담대 변동금리 오름 폭이 지표금리 상승 폭의 3.5배에 달하는 셈이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경우 지표금리로 주로 코픽스를 활용한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대출에 쓰일 자금을 조달하는데 얼마나 많은 비용(금리)을 들였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 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신용대출 금리도 지표 금리보다 상승폭이 더 컸다. 신용대출 금리는 주로 은행채 6개월·1년물 등 금융채 단기물 금리를 지표(기준)로 삼는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5월말 0.935%에서 이달 3일 현재 1.250%p로 약 3개월 새 0.315%p 높아졌다. 이 기간 4대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 인상 폭은 0.43%로, 지표금리보다 0.1%p 이상 대출금리가 더 올랐다.

이 같은 현상은 금융당국의 대출총량 관리로 가산금리가 올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거래실적 등을 감안해 적용하는 우대금리 등도 사라지는 모습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7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개별 차주로 확대 적용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10%를 넘어선 가계부채 증가율을 5~6%로 낮추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최근 강력한 총량관리책을 펴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NH농협은행과 농협 상호금융 등이 이 같은 목표치를 넘어서면서 대출을 중단하기도 했다.

고승범 신임 금융위원장이 더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를 예고한 만큼 금리 인상 속도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 당장 신한은행은 6일부터 전세자금 대출 금리를 0.2%p 더 높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