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오세훈표 재개발로 갈아타자"… 도시재생지역, 잇단 참여 선언

이달말 재개발 후보지 공모 앞두고

창신·숭인 등 11곳 주민동의서 징구






오세훈 서울시장이 박원순식 ‘벽화그리기’ 도시재생사업을 개발·정비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대전환하면서 창신·숭인동 등 기존 도시재생구역들이 재개발 추진에 나서고 있다. 오 시장이 추진하는 ‘스피드 주택 공급’의 핵심인 공공기획을 적용한 민간 재개발 후보지 공모가 이달 말로 다가오면서 참여 의사를 밝히는 도시재생구역들이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5일 정비 업계에 따르면 창신·숭인을 비롯한 도시재생지역 11곳이 공공기획 재개발 공모 신청을 위한 주민 동의서를 징구하고 있다. 오 시장이 지난 5월 발표한 ‘6대 재개발 규제 완화책’ 중 하나인 공공기획은 정비구역 지정 기간을 기존 5년에서 2년으로 대폭 단축하는 내용이다. 이달 말 공식 공모 절차가 시작되면서 노후화가 심한 지역들을 중심으로 개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에서 탈락한 기존 도시재생지역의 호응이 크다. 앞서 이들 지역은 노후화가 심각하다며 공공재개발 공모에 신청했지만 서울시는 ‘도시재생 예산과 공공재개발 예산이 중복된다’며 후보지 선정에서 배제한 바 있다.

하지만 오 시장이 취임 이후 발표한 ‘2세대 도시재생’에 재개발 연계형 사업을 통해 도시재생지역에도 공공기획 재개발을 허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되면서 이들 지역에도 개발 가능성이 열리게 됐다. 전임 박 전 시장 임기 당시 보존 중심으로 추진되던 도시재생사업의 무게추가 ‘개발을 통한 공급’으로 옮겨진 것이다. 앞서 오 시장은 서울시장 후보 시절 박 전 시장의 도시재생을 ‘벽화그리기’라고 비판하며 정책 변화의 필요성을 역설해왔다.

그동안 재개발에서 소외됐던 도시재생지역들은 ‘오세훈표 도시재생’을 반기는 분위기다. 아직 정식 공모 절차가 시작되지도 않았지만 벌써부터 주민 동의서 징구에 나선 지역도 있다. 창신동의 경우 이미 주민 동의율이 35%를 넘어섰다. 도시재생 폐지연대 대표를 맡고 있는 강대선 창신동 재개발위원장은 “도시재생구역들은 공공기획 참여를 마지막 희망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재생구역이라는 이유로 공모 참여에 제한을 두거나 공모 선정 구역 수에 제한을 두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