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화학, 세계 4대 곡물기업과 미국에 바이오 플라스틱 공장 세운다

ADM과 옥수수 원료 플라스틱 합작법인

2025년까지 연산 7.5만t

13일(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위치한 ADM(Archer Daniels Midland) 본사에서 후안 루시아노 ADM 회장,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PLA(Poly Lactic Acid)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한 뒤 악수하고 있다./사진제공=LG화학13일(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위치한 ADM(Archer Daniels Midland) 본사에서 후안 루시아노 ADM 회장,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PLA(Poly Lactic Acid)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한 뒤 악수하고 있다./사진제공=LG화학





LG화학(051910)이 미국에 바이오 플라스틱 공장을 설립한다.

LG화학이 세계 4대 곡물 가공 기업인 미국 아처대니얼스미들랜드(ADM)와 함께 옥수수를 원료로 한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공장을 현지에 설립한다고 14일 밝혔다.



LG화학과 ADM은 13일(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소재 ADM 본사에서 LA(Lactic Acid)와 PLA(Poly Lactic Acid)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했다. 체결식에는 LG화학 신학철 부회장, ADM 후안 루시아노 회장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양사는 내년 1분기에 본 계약을 체결하고 2025년까지 미국 현지에 연산 7만5,000t 규모의 PLA 공장을 건설한다는 계힉이다. 원재료부터 제품까지 통합 생산이 가능한 PLA 공장을 미국에 짓는 한국 회사는 LG화학이 최초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PLA는 옥수수에서 추출한 글루코스(포도당)를 발효·정제해 가공한 LA가 원료인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다. 100% 바이오 원료로 만들어져 주로 식품포장 용기, 식기류 등에 사용되며, 일정 조건에서 미생물 등에 의해 수개월 내 분해된다. ADM은 글로벌 곡물 가공 기업으로서 바이오케미칼 분야에서 중요한 원료인 글루코스 생산 능력과 이를 원료로 한 발효 기술에 강점이 있다.

합작법인 설립을 완료하면 LG화학은 수직계열화 기반의 다양한 고부가 제품 개발에 재생 가능한 바이오 원료를 접목할 수 있다. 또한 상업적 규모의 고순도 젖산(Lactic Acid) 생산능력을 확보해 PLA 생산에 필요한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된다.

LG화학은 PLA 생산을 기반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을 본격 공략할 계획이다. 특히 기후변화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생분해성수지 상업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앞으로 친환경·지속가능성 분야에서 확장 가능한 바이오 소재 공동 연구개발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신학철 부회장은 "ADM과의 합작법인 설립은 단순한 협력을 넘어 지속가능한 사업 구조로의 전환을 이끌 새로운 여정의 시작"이라며 "지속 가능 선도기업으로서 탄소중립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들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