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빚투'가 부른 반대매매

정혜진 증권부 기자





‘국내 주식 신용거래 융자 1년 반 새 4배 증가.’ ‘2030세대 상반기 투자 대출 규모 39조 원, 연간 최고치 전망.’



식을 줄 모르는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이 여전히 뜨겁다. 그런데 열기 뒤편에서는 개인투자자가 오롯이 감당해야할 손실 역시 꾸준히 몸을 키우는 중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8월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투자했다 되갚지 못해 주식을 강제 매도당한 ‘반대매매’는 하루 평균 84억 8,000만 원으로 한 달 새 2배 넘게 늘었다. 투자자 신용거래 융자 규모는 사상 최고치 수준을 이어가고 있는데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자 개인이 감당해야 할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이다.

관련기사



지난해부터 무섭게 상승한 주식장에서 단기 과실을 맛본 후 손실 감각이 둔감해진 탓이다. 그러나 빚투로 떠안을 위험의 무게는 생각보다 더 무겁다. 신용 융자로 사들인 주식의 담보 가치가 통상 대출금의 140% 아래로 떨어지면 증권사는 해당 주식을 전일 종가의 하한가(-30%)에 되파는 반대매매를 통해 손실분을 메꾼다. 대출 주식이 급락할 경우 보유분을 모두 팔아도 빚을 다 갚지 못할 수 있다. 또 하한가 주문이 몰리면 주가가 추가 하락해 다른 투자자에게 피해가 전이된다. 악순환의 반복이다.

주식 광풍에 급작스럽게 주식을 시작한 투자자들이 대출 제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빚내는 일이 늘어난 것 역시 문제다. 미수 거래를 이용하면 증거금 납부 비율이 총 매입 대금의 30%가량이라 비교적 쉬이 큰돈을 굴릴 수 있지만 만기가 3거래일로 짧아 반대매매가 일어날 가능성과 손실 위험이 더 크다.

최근 증시 충격에 코스피는 3,010 선까지 물러났지만 증권가에서는 겹친 악재에 변동 폭이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금감원에서는 이미 불어나는 빚투에 대한 경고음을 울렸다. ‘하이리스크·하이리턴(고위험·고수익)’이 자본주의 기본 원칙이라지만 그 당연함의 그늘에는 ‘고위험·고손실’ 가능성이 도사리고 있는 법이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