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물가 치솟자…모든 부처서 모니터링

농식품부·산업부 등 확대

불공정 행위 제재도 강화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청과물시장 전경./오승현 기자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청과물시장 전경./오승현 기자





정부 당국이 기존 공정거래위원회가 전담하던 물가 모니터링 역할을 사실상 전 부처로 확대했다. 감시망을 촘촘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가격 담합 등 불공정 행위에 대한 제재에도 강도를 높이겠다고 경고했다. 최근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등 물가 불안 상황 속에 라면·우유 등 생필품 가격이 급격히 오르면서 당국이 칼을 꺼내 든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4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기존 물가 감시 업무를 담당하던 기획재정부·공정거래위원회는 물론 농림축산식품부·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해양수산부·행정안전부 등 관련 부처 또한 물가 모니터링 강도를 최근 격상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신선·가공식품 가격을, 산업부는 유가를 살펴보는 등 정부 부처가 각각 담당하는 영역의 물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게 됐다. 시장 물가 감시 업무는 평시에 공정위 혼자 담당했지만 이에 따라 각 부처가 담당 영역의 물가를 직접 감시한 후 가격 담합이나 매점매석 등 징후가 의심되면 공정위에 통보하는 방식으로 전환된다.

이 같은 조치 배경에는 최근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물가 불안 상황이 있다. 물가 불안 심리가 확산할 수 있다고 보고 서민 생활과 밀접한 부처가 물가 감시에 나서기로 했다는 것이 기재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공정위 관계자 또한 “담합 등 불공정 행위 감시 레이더의 범위가 넓어지고 감시망이 훨씬 더 촘촘해질 뿐만 아니라 강도도 세진다고 보면 된다”면서 “이상 정황이 발견되면 현장 조사 등 즉시 대응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