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연쇄 대출 중단 오나…5대 은행 대출 증가율 이미 5%





연말까지 약 3개월이나 남았지만, 주요 시중 은행들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이미 연초 억제 목표로 잡은 5%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NH농협에 이어 다른 은행들도 연말까지 잇따라 일부 대출 창구를 아예 닫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7일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703조4,41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말(670조1,539억원)과 비교해 4.97% 늘어난 규모다. 연초 당국이 제시한 증가율 목표(5∼6%)의 턱밑까지 온 셈이다.

관련기사



은행별 증가율을 보면 NH농협(7.14%·126조3,322억→135조3,581억원)이 가장 높고, 하나은행(5.23%·125조3,511억→131조9,115억원)이 뒤를 이었다. 가계대출 규모 1위 KB국민은행(5.06%)도 지난달 말 4.90% 이후 1주일 만에 0.16%포인트 올라 5%를 넘어섰다. 우리은행(4.24%·130조3,528억→135조8,842억원)도 추세대로라면 이달 말이나 다음 달께 5%대에 진입할 전망이다.

이처럼 가계대출 증가세가 쉽게 꺾이지 않자 은행들은 갈수록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이런 조치에도 가계대출 속도가 충분히 떨어지지 않으면, 아예 은행들이 속속 신규 가계대출을 연말까지 중단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미 NH농협은행은 8월 24일 이후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신규 담보대출을 아예 막고 있고, 은행은 아니지만 상호금융 수협중앙회도 이달부터 모든 조합원·비조합원 대상 신규 가계대출을 멈췄다. 지난 5일 출범한 토스뱅크의 경우 벌써 가계대출 잔액이 당국이 제시한 올해 가계대출 최대 한도(5,000억원)의 절반에 이르러 조만간 대출 문을 닫을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가계 대출이 급격히 늘어나자 정부에서는 가계 부채 증가율을 상향 조정한 바 있다. 하지만 기준이 명확치 않아 시중은행에서는 혼란을 겪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올해 초 분명히 당국이 제시한 5% 증가율 가이드라인에 맞춰 여신담당부서에서 총량 관리 계획을 제출했다"며 "이제 '6%대' 얘기가 나오는데, 이게 7%까지는 늘어도 된다는 말인지 모호할 뿐 아니라 여신담당부서는 정확히 당국으로부터 6%대로 상향조정됐다는 지침을 받은 적도 없다고 한다"고 전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