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서울중앙지검장 "이재명도 대장동 수사 범주 들어가"

"구체적 수사 계획은 밝히기 어려워"

野, 대장동 부실·늦장 수사 질책에는

"유동규 휴대폰 확보 등 불찰 인정"

이정수 서울중앙지검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서울고등검찰청, 수원고등검찰청,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권욱 기자이정수 서울중앙지검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서울고등검찰청, 수원고등검찰청,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권욱 기자




이정수 서울중앙지검장이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 이재명 경기도지사 수사 여부에 대해 “수사 범주에는 들어가 있다”며 향후 수사 가능성을 열어뒀다.



14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주혜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수사 대상이냐”고 물은 데 따른 것이다. 이 지검장은 다만 “수사계획이나 일정을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관련기사



이날 국민의힘 의원들은 대장동 사건 관련 부실 수사와 수사 지연에 대한 질타를 이어갔다.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이 지검장을 향해 “검찰이 확보한 유동규의 휴대전화가 몇 대냐”고 물었고, 이어 검찰 압수수색 다음날 유 씨가 휴대전화를 들고 통화하는 모습이 언론을 통해 공개된 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지검장은 “저희의 불찰을 인정한다. 국민들에 송구스럽다는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유 씨의 집을 압수 수색한 곳이 몇 곳이냐”고도 물었다. 그러면서 “검찰이 압수 수색한 1곳에 불과한데, 이곳은 수색 6일 전 얻은 임시 거처”라며 “오랫동안 거주한 곳은 수색도 못 하면서 ‘빈손’ 압수 수색에 이어 ‘빈집’ 압수 수색이라는 비판이 나온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수사팀의 구성 현황, 성남시에 대한 압수 수색이 이뤄지지 않은 점 등도 비판의 대상이 됐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