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미국이 겪고 있는 인력난이 미 경제의 만성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력난이 일시적인 게 아니라 미국 경제의 ‘뉴노멀’이 될 수 있는 만큼 기업과 정부도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14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팬데믹 직전인 지난해 2월 경제활동 참여율이 63.3%에 달했지만 지난달에는 61.6%에 그쳤다. 또 지난 달에는 일터를 떠난 퇴직자가 430만 명을 기록해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00년 12월 이후 가장 큰 규모의 노동력 이탈을 보였다.
WSJ는 52명의 경제학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42%에 해당하는 22명은 “경제활동 참여율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는 영원히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회복돼 일자리가 생기면 근로자들은 취업을 희망한다.그러나 이번 인력난은 여러 가지 이유가 복합돼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WSJ는 분석했다.
WSJ는 우선 지난달 데이케어센터 등 돌봄 시설 취업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만 8,700명(10.4%) 감소한 반면 임금은 10% 상승한 점에 주목했다.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 줄고 돌봄 비용이 증가하면서 일터에 나가 돈을 버느니 집에서 아이를 돌보려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실제로 여성과 대학 학위가 없는 사람들, 저임금 서비스 노동자층에서 경제활동 참여율이 크게 낮아졌다.
코로나19로 국경이 패쇄되면서 외국인 근로자 규모가 크게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베이비부머들의 조기 은퇴도 가속화했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두려움이 은퇴 결정에 영향을 미쳤고 주식시장 강세로 보유 자산이 늘어난 이들도 조기 은퇴 대열에 합류했다. 이들은 연금을 조기 수령하는 방식으로 은퇴를 앞당겼다.
경제학자들은 젊은 세대의 경우 저임금 근로자들이 고임금 업종에 눈길을 돌리거나 자신에게 유리한 요건을 갖춘 일자리를 원하고 있다고 봤다.
노동시장 분석 회사 엠시버닝글래스의 경제학자인 론 헤트릭은 “우리가 겪고 있는 문제는 경제가 다시 돌아가지 않고 있는 게 아니라 엔진을 가동시킬 사람이 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